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확산…중국, 미국산에 34% '보복관세' 전면 대응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2025.04.06 (일) 12:04

4
5

중국이 미국의 보복관세 발표 하루 만에 34% 추가 관세로 강력 대응하며 미중 무역갈등이 격화됐다. 수출통제, 기업 제재 등 전방위 반격이 이어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 확산…중국, 미국산에 34% '보복관세' 전면 대응 / 연합뉴스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미국의 대중 보복 관세 발표에 하루 만에 나온 강력한 대응이다. 양국은 이미 두 차례 관세 인상을 주고받은 바 있다.

이번 조치로 미중 무역 갈등이 한층 더 격화됐다. 중국 관영 언론은 "한꺼번에 11개의 화살이 날아간 셈"이라며 강력한 반격임을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도 중국이 물러설 뜻이 없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중국은 희토류 7종 수출을 통제하고, 미국과 인도산 X선관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수수나 가금육 관련 미국 기업 6곳의 수출 자격도 정지시켰다. 세계무역기구(WTO)에도 미국을 제소했다.

또한 대만에 무기를 판 미국 기업 11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올리고, 군수용과 민수용을 겸한 이중용도 물품의 수출도 제한했다. 듀폰 중국 법인에는 반독점법 위반 조사를 착수했다.

미국은 이미 지난달까지 두 차례에 걸쳐 20% 보편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34% 상호관세를 추가하기로 했다. 실제 최종 관세율은 많게는 70%까지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전부터 60% 관세를 공언해왔다.

호주 맥쿼리그룹의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미국의 조치가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최대 2.5%포인트 끌어내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올해 성장 목표를 5% 안팎으로 잡고 있다.

미중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도 점점 멀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6월 회담이 거론됐고, 홍콩 언론은 이르면 이달 가능성도 제기했지만 최근엔 연말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뉴욕타임스는 양국의 관세 공방이 정상을 만날 여지를 더욱 좁혔다고 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한 펜타닐 문제 역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무역 갈등이 민간 기업까지 번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가 중국 공급업체에 가격을 내리라고 압박하자 중국 관리들이 반발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또 홍콩 기업의 항만 운영권을 미국 기업에 넘긴 문제로도 양국 간 갈등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에 중국이 협조할 경우 관세 인하 가능성도 언급한 바 있어, 틱톡이 협상의 실마리가 될지 주목된다.

중국은 미국 대응 외에도 한국, 일본, 유럽연합 등과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EU와는 글로벌 무역 규범 강화를 위해 협력을 제안했고, 지난달 말 서울에서 열린 한중일 장관회의에선 3국 자유무역협정 추진으로 다자무역 체제를 지키자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4

추천

5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00:56

등급 아이콘

사계절

00:14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4.07 00:57:0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4.07 00:14:1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금동보안관

2025.04.06 23:46:01

좋은 정보 감사히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5.04.06 18:35:3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