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차 추진하는 대규모 관세 정책이 미국 중산층 가계의 부담을 눈에 띄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가 공언한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연간 가계지출이 수천 달러씩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CNN 수석 데이터 분석가 해리 엔튼(Harry Enten)은 최근 분석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전 세계 제품에 대한 10% 일률 관세’와 별도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최대 60% 고율 관세 안이 시행될 경우, 평균적인 미국 가정이 겪게 될 재정적 압박이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튼은 “이번 관세 부과안은 단순한 세율 인상을 넘어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물가 상승 압박을 불러오고,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비 여력을 직접적으로 위축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제조업 부흥과 외국 상품 의존 축소를 명분으로 잡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관세 부담이 가계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전 행정부 시절 단행된 철강·알루미늄 관련 관세가 이미 자동차, 전자제품, 생활용품 등의 가격 인상을 초래했던 만큼, 이번 조치 역시 실질적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타깃으로 삼고 있는 중국산 부품은 미국 내 제품 조립 및 유통 단계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어, 관련 산업 전반의 원가 상승은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가 주도하는 인플레이션 억제 노력과도 충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엔튼은 “현재 중간소득 가구의 연간 생활비는 이미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고 있다”며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모든 관세안이 현실화되면, 평균 가정당 수천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관세 정책이 단기적인 정치적 효과를 겨냥한 메시지에 불과하다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2024년 대선 이후 실제 정책으로 이행될 경우, 암호화폐를 비롯한 대체 투자 자산으로의 수요가 다시금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기존 통화 가치 하락 가능성과 맞물려,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 같은 자산이 헤지 수단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