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암호화폐 투자자 수가 2월 기준 1629만명을 기록하며 전체 인구의 약 32%에 달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또한 공직자 5명 중 1명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현지시간) 크립토닷컴뉴스에 따르면, 재건한국당 차규근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암호화폐 투자자 수가 2월 기준 1629만명에 달한다. 이는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Upbit), 빗썸(Bithumb), 코인원(Coinone), 코빗(Korbit), 고팍스(Gopax) 계정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로, 2024년 내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암호화폐 투자자 수는 2024년 3월 처음으로 1400만명을 넘어섰다. 11월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50만명이 추가로 시장에 진입하며 총 투자자 수가 1500만명을 넘어섰다.
업계 전문가들은 암호화폐 투자자 수가 곧 2000만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코리아 헤럴드에 "일부에서는 암호화폐 시장이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고 보지만, 성숙한 주식 시장과 비교하면 여전히 무한한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역 언론 문화일보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재산 신고를 제출한 한국 공직자의 20%가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산 신고를 제출한 2,047명의 공직자 중 411명이 직접적인 암호화폐 보유 또는 투자를 공개했다.
이러한 암호화폐 보유 공직자들 중에는 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경찰대학교 총장,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 등 고위 정부 대표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공직자가 신고한 암호화폐 자산의 총 가치는 144억 1천만원(약 980만 달러)에 달하며, 공직자당 평균 보유액은 3507만원(23,927달러)이다.
서울시의원 김혜영은 가장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것으로 보고됐다. 2025년 기준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공직자 개인 자산 보고서에 따르면, 그의 자산 가치는 17억원으로 평가됐다.
정부 공직자들 사이에서 주목할 만한 암호화폐 도입은 최근 몇 년간 한국이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이해력 있는 규제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거래소 계정에 대한 실명 확인 의무화 및 포괄적인 자금세탁방지 조항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