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코인(Memecoin)이 집단 무의식의 원형(archetypes)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크립토퀀트의 CEO 기영주(Ki Young Ju)는 SNS를 통해 "밈코인은 집단 무의식의 원형"이라며 "동물 밈코인은 샤머니즘을, 유명인 밈코인은 인류가 추구하는 고등 종교를 투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인간의 진화가 공유된 신념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으며, 암호화폐 산업에서도 마찬가지로 믿음을 창출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분석은 최근 리브라(Libra) 토큰 사태 이후 밈코인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는 가운데 나왔다. 리브라 토큰은 약 1억 700만 달러(약 1,540억 원) 규모의 투자 손실을 초래하며 논란을 일으켰고, 해당 프로젝트를 지지했던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탄핵 위기에 몰리는 등 정치적 파장까지 초래한 상태다.
VC업계에서도 밈코인의 종말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명 투자자 닉 카터(Nic Carter)는 "밈코인은 끝났다"며, 투자자들이 이제 실질적인 가치를 지닌 프로젝트로 관심을 돌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밈코인의 핵심 가치가 '공정한 출시'라는 개념이었으나, 최근의 사태로 인해 그 신뢰도가 무너져 내렸다고 지적했다.
한편, 시장 데이터 플랫폼 게코터미널(GeckoTerminal)에 따르면 2025년 1월에만 60만 개 이상의 신규 토큰이 시장에 출시됐으며, 이 중 대부분이 밈코인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토큰 발행이 시장의 유동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며, 밈코인 시장의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