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나 랩스(Ethena Labs)가 최근 발생한 바이빗(Bybit) 해킹 사건에도 불구하고 자사 스테이블코인인 이데나 USDe(USDe)의 지급 능력에 문제가 없음을 사용자들에게 보장했다.
이데나 랩스는 21일 공식 채널을 통해 자사의 합성 달러 토큰인 USDe가 바이빗을 통한 파생상품에 약 3,000만 달러(약 432억 원) 규모로 노출돼 있지만, 이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는 예비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표는 바이빗에서 14억 달러(약 2조160억 원) 상당의 리도 스테이킹 이더(sTETH), 맨틀 스테이킹 이더(mETH) 및 기타 암호화폐가 유출된 이후 나왔다.
이데나 랩스는 파생상품을 이용한 헤징 전략을 통해 USDe의 변동성을 완화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USDe의 모든 기본 자산(spot asset)은 바이빗이 아닌 외부 커스터디 업체인 코퍼(Copper)를 통해 관리되고 있으며, 이번 해킹으로 직접적인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다.
USDe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및 기타 스테이블코인을 담보로 발행된다. 출시 이후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했으며, 특히 이데나 랩스는 스테이킹 자산의 이자 수익과 무기한 선물(perpetual) 시장의 펀딩 수익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데나 랩스의 중앙화된 탈중앙화 금융(CeDeFi) 모델이 거래소, 커스터디 업체 및 정산 서비스 제공업체의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번 바이빗 해킹 사건이 CeDeFi 모델의 취약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바이빗의 CEO 벤 저우(Ben Zhou)는 "출금 서비스가 여전히 정상 운영 중이지만,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고 공지하며 사용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