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솔라나, 밈코인 논란에 투자심리 위축… 숏 포지션 급증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8 (화) 06:56

대화 이미지 3
하트 이미지 8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밈코인 논란이 이어지며 투자심리가 악화, 선물 시장에서 숏 포지션이 급증하고 있다.

솔라나, 밈코인 논란에 투자심리 위축… 숏 포지션 급증 / Tokenpost

솔라나(SOL)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잇따른 밈코인 관련 논란이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며 선물 시장에서 숏 포지션이 급증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코인얼라이즈(Coinalyze)는 2월 17일 기준 SOL의 롱-숏 비율이 4에서 2.5로 급감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시장 전반에서 솔라나에 대한 약세 심리가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솔라나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매출은 2024년 4분기 213% 급증했는데, 이는 밈코인 투자 열풍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최근 내부자 매도와 투자자 손실이 잇따르면서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트레이더인 러너 XBT(Runner XBT)는 2월 16일 X(구 트위터)에서 "현재 드러나는 문제들은 SOL 생태계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2월 14일,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Javier Milei)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진 리브라(LIBRA) 토큰은 출시 직후 약 44억 달러(약 6조 3,360억 원)의 시가총액이 사라졌다. 밀레이 대통령은 해당 암호화폐를 X에서 홍보했지만 이후 게시물을 삭제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 기만 혐의로 법적 대응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연관된 밈코인 '오피셜 트럼프(TRUMP)'는 올해 1월 이후 약 20억 달러(약 2조 8,800억 원)의 손실을 기록하며 80만 개 이상의 지갑에서 자금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리브라 창립자인 헤이든 데이비스(Hayden Davis)는 밈코인 비판론자들을 두고 "내부자 거래에서 소외된 것에 대한 불만"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유튜브 콘텐츠 제작자 커피질라(Coffeezilla)와의 인터뷰에서 "밈코인 시장에서 가장 크게 성공하는 사람들은 출시 초기 참여자들"이라며 "비판하는 사람들은 결국 내부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화를 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 12개 주 정부가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가 이끄는 전략리(MSTR) 주식을 총 3억 3,000만 달러(약 4,752억 원) 상당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트코인 분석가 줄리안 파러(Julian Fahrer)는 2월 17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위스콘신, 노스캐롤라이나 등의 퇴직연금 및 국고가 전략리에 가장 많이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캘리포니아 교직원 연금은 2월 14일 공시된 보고서에 따르면 28만 5,785주를 보유 중이며, 이는 약 8,300만 달러(약 1,195억 원)에 달한다. 전략리는 현재 총 47만 8,74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460억 달러(약 66조 2,400억 원) 규모다.

암호화폐 시장이 밈코인 스캔들과 함께 정치적 요인까지 겹치면서 변동성이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3

추천

8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가즈아리가또

2025.02.18 14:44:2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2.18 10:40:5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2.18 08:22:46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