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고용 지표가 발표를 앞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고용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시장 전망에 따르면 4월 중 미국 내 신규 고용은 13만3,000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지난 3월 22만8,000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다. 만약 실제 수치가 10만 명을 밑돌 경우, 관세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이 예상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건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유의 날’로 불렸던 4월 초 발표된 신규 관세 조치다. 일부는 유예됐지만, 다수는 이미 발효 중이며, 이로 인해 기업들이 신규 투자와 채용 계획을 보류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판테온 매크로이코노믹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새뮤얼 톰스와 올리버 앨런은 “자산 가격 하락과 정책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불필요한 지출이 전반적으로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들은 아직 고용과 직결된 주요 지표가 명확한 하락세로 접어들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4월은 미국 경제 전반의 흐름을 가늠할 주요 경제 지표가 집중 발표되는 시점이었다. GDP 성장률, 인플레이션, 제조업 지표, 소비자 신뢰지수까지 줄줄이 발표됐고, 그 마지막이 바로 이 고용 보고서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수석 경제학자 마크 잔디는 “고용이 15만 명 수준만이라도 유지된다면 이번 주 나왔던 부정적 경제신호는 다소 상쇄될 것”이라며 “하지만 두 자릿수에 머무르면 시장 전반의 불안 심리가 증폭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방준비제도 역시 이 고용 데이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올 들어 연준은 기준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며 인플레이션 억제에 집중하고 있으나, 고용시장에 명확한 둔화 조짐이 확인되면 통화정책의 방향도 전환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노무라의 제레미 슈워츠 연구원은 “양호한 고용 지표가 확인된다면 연준은 금리인하에 조급할 이유가 없겠지만, 고용 둔화와 함께 관세 불확실성, 정부 구조조정 등 리스크 요인이 병존하는 상황에서는 침체로의 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결국 이번 고용 보고서는 단순한 월간 지표를 넘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대한 시장판단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기업 투자와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 관세의 효과가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날 경우, 경제와 금융시장 전반에 커다란 의미를 남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