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저울질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연준 인사들은 오는 6월 경제 지표가 악화될 경우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노동시장 둔화나 무역 전쟁이 현실화될 경우 정책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클리블랜드 연방은행의 베스 해맥 총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6월까지 확실한 경제 지표가 나올 경우, 연준은 그에 따라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간헐적인 관세 부과 정책이 기업 심리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연준 이사인 크리스토퍼 월러 역시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 조치가 가능한 시나리오로 노동시장 붕괴를 언급했다. 그는 "만약 대규모 관세가 부활하고 그 여파로 실업률이 오르기 시작한다면, 더 빠르고 더 많은 금리 인하가 단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발언은 연준이 현재 직면한 정책적 딜레마를 고스란히 드러낸다. 연준의 주요 과제는 *물가 안정*과 *고용 극대화*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은 물가 상승과 고용 위축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어, 연준이 어느 쪽을 우선시할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연준은 현재까지 기준금리를 팬데믹 이후의 고물가를 억제하기 위해 높은 수준으로 유지해 왔지만, 이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는 계속 제기돼왔다. 특히 올해 3월까지의 지표상으로는 고용 지표는 견조했지만, 인플레이션은 연준 목표치인 2% 선에 가까워지고 있어 정책 완화 논리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내다보며, 6월부터 인하 사이클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CME 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시장 참가자들의 기대감은 점차 금리 인하 쪽으로 기울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연준의 결정이 트럼프 무역정책의 전개 양상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강경하게 지속될 경우, 인플레이션 우려와 소비 둔화가 맞물리며 연준을 곤혹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