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관세 리스크에 벤처투자 '빨간불'…美 자본시장도 숨 고르기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벤처·사모펀드 투자와 인수·합병 시장에 악영향을 주며 자금 순환이 정체되고 있다. 이는 미국 경제와 글로벌 공급망 모두에 부정적인 신호로 작용한다.

관세 리스크에 벤처투자 '빨간불'…美 자본시장도 숨 고르기 / TokenPost Ai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민간 투자 및 벤처캐피털 시장 전반을 압박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과 자본시장 예측 가능성을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이 같은 환경이 상당한 도전 과제로 작용하고 있다.

가계 자산가 및 사모펀드 등이 주도하는 벤처 기반 인수·합병(M&A) 거래도 예외는 아니다. 현재처럼 단기 경기전망이 흐릿한 상황에서는 투자 판단 자체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합의’ 과정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지금 시장의 지배적 메시지는 분명하다. 관세는 미국 경제와 지난 수십 년간 구축된 글로벌 공급 인프라 양측에 모두 *해악*이라는 것이다.

관세는 미국 기업이 해외로부터 상품을 수입할 때마다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만드는 *세금*으로 작용한다. 이는 공급망 전반에 비용 상승 압력을 전달하며, 최종적으로는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정부에 직접 전달되는 세금과 달리 이 비용은 기업 간 거래 과정에서 확산되면서 전반적인 경제 활동을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구매자들은 다른 시장으로 눈을 돌리게 되며, 이는 곧 미국 수출업체에 대한 수요 저하로 연결된다.

무역 상대국의 보복관세는 이에 더해 미국 내 특정 산업에 직격탄이 된다. 미국산 위스키, 캘리포니아산 와인, 펜실베이니아 버섯 같은 대표 품목의 해외 수요는 급감하고 있으며, 이 같은 수요 충격은 고용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자연스럽게 계획하던 설비 투자에 소극적으로 변하며, 일부 프로젝트는 연기되거나 철회되고 있다. 기술 도입 역시 후순위로 밀려나면서 투자 생태계에서도 *연쇄 지연*이 발생한다.

벤처 및 성장 단계 투자자들 또한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매출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고, 기업가치를 보수적으로 산정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상장이나 인수 같은 유동성 이벤트를 미루는 스타트업이 늘어나고 있다. 결국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게 되면 연기금, 고액 자산가 등 출자자들도 신규 자금 모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는 자본 순환의 정체로 이어지며, 당연히 새로운 벤처 투입 자금도 가뭄을 겪게 된다.

관세가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라는 점에서 벤처 및 성장 투자자들은 보다 국내 시장 중심의 포트폴리오 구성을 선호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말기에 물류 혼란과 가격 급등으로 인해 인수·합병 활동이 주춤했던 당시 양상과 흡사하다. 당시에도 기업 실적 악화에 따라 감가된 밸류에이션이 매도자를 주저하게 만들었고, M&A 시장 전반에 *소극적 분위기*가 확산됐다.

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시장의 방향성은 계속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일단 미국을 중심으로 안전지대를 모색하겠지만, 그 범위조차 점점 좁아지고 있다. 투자 생태계 전반에서 들려오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관세는 미국 경제에도, 글로벌 경제에도 결코 유익하지 않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