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관세폭탄에 예측시장도 출렁… 트럼프發 경기 침체 가능성 60% 육박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2025.04.04 (금) 22:59

2
1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예측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60%까지 치솟으며 금융시장에 불안감이 확대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정책 리스크와 실물경제의 연결 고리를 예의주시하는 중이다.

관세폭탄에 예측시장도 출렁… 트럼프發 경기 침체 가능성 60% 육박 / TokenPost Ai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대규모 글로벌 관세 조치 이후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시장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해당 발표 직후 금융시장에 급격한 하락세가 나타났고,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경기 침체 가능성을 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투자자뿐 아니라 예측 시장(prediction market)의 참여자들 또한 경제의 향방에 주목하고 있다. 예측 시장은 최근 들어 대선 등 주요 정치 이벤트뿐 아니라 경제 지표와 관련된 베팅 수단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특히 지난해 후반 대선 기간에도 트럼프 승리를 두고 수많은 베팅이 오갔으며, 현재는 경기 침체 발생 가능성 여부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대표적인 예측 시장 플랫폼인 폴리마켓(Polymarke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 당시 30% 미만이던 경기 침체 가능성은 현재 56%까지 상승했다. 이는 '침체 발생'에 1달러를 걸면 1.75달러를 받는 구조로, 반대로 '침체 없음'에 베팅할 경우 수익은 2.27달러에 달한다. 또 다른 플랫폼 칼시(Kalshi)에서는 경기 침체 발생 확률이 약 60%에 이르고 있다. 이 경우 역시 'Yes'에 1달러를 걸면 2달러, 'No'에 걸면 3달러의 배당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순한 투자 심리를 넘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가 실제 경제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하고 있다는 데서 의미가 크다. 현재 글로벌 주식시장도 관세 여파로 잇따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뉴욕증권거래소 등 주요 시장에서도 관련 우려가 반영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가전 등 수입 비중이 큰 산업군은 타격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관세 정책을 포함한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전략이 중장기적으로 물가 상승과 기업 이익 둔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는 곧 소비 심리 위축과 고용 감소로 이어져 경기 침체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전망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예측은 단순 베팅을 넘어 시장 참여자들의 집단 지성으로 간주되며, 실제 투자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장에선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경제 조치와 국가 간 무역 갈등 전개 양상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관련 정책이 계속해서 예측 시장의 흐름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예측 시장은 앞으로도 실물 경제와 투자 심리, 정책 리스크를 연결하는 중간 허브로 역할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2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FADO

00:27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FADO

2025.04.05 00:27:31

탁월한 분석이에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FADO

2025.04.05 00:27:3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