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의 고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차량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려는 그의 의지가 다시 한 번 표면화됐다. 이번 조치는 오는 4월 2일부터 즉시 시행될 예정이며,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관세 정책이 제조사들로 하여금 미국 내 시설 확충을 유도하도록 만들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현행 자유무역체계 하에서 미국 완성차 제조사 대부분은 미국뿐 아니라 멕시코, 캐나다 등지에도 생산라인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번 관세로 인해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UBS의 조셉 스팍 애널리스트는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F)는 이미 일정 수준의 유휴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어 일부 생산 공정을 미국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그는 "이러한 조정이 실현되려면 시설 재구축부터 시작해 시간이 상당히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이 관세 정책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는 또 다른 이유는 안정성에 대한 불확실성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상대국에 대한 협상 카드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UBS는 많은 완성차 업체들이 정책 지속 여부가 명확해질 때까지 신중한 입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런 가운데 현대자동차는 이번 주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위해 향후 수년간 210억 달러(약 30조 6,600억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부응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이번 자동차 관세 조치는 캐나다·멕시코 제품에 대한 관세,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기존 25% 관세, 중국산 제품에 대한 20% 관세에 이은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가 계속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추가적인 관세 조치도 이어가겠다고 밝혀, 글로벌 교역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있다. 일부 경제전문가는 "정권 변화 가능성을 고려할 때, 이번 관세 조치는 제조업 유턴 효과보다는 인플레이션 자극 등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GM과 포드 외에도 대부분의 해외 브랜드가 미국 내 생산 기반을 일부 보유하고는 있지만, 단기간에 대규모 이전을 단행하기는 녹록치 않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