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입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최근 그의 대선 캠페인이 암호화폐 기부를 공식적으로 허용한 데 이어, 이번엔 디지털 자산을 현금처럼 다루겠다는 정책 구상을 밝히며 관련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21일(현지시간) 트럼프 캠페인 측은 공식 성명을 통해, 차기 행정부가 출범할 경우 암호화폐 기술을 적극 수용하고 정책 차원에서 제도권 편입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미국의 기술 혁신을 지키기 위해 도전적이고 반(反)기술적인 규제를 철폐하겠다”며, 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자산 보유자에 대한 세금 감면 검토도 시사하면서 시장 친화적인 입법 방향을 예고했다.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는 최근 블록체인 업계와 보수층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친(親)암호화폐’ 정서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젊은 보수 유권자 층 사이에서 비트코인(BTC)과 솔라나(SOL), XRP 등 주요 코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를 선거 전략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미국 암호화폐 정책 자문단체 ‘디지털 체임버(Digital Chamber)’의 페리안 보링(Perianne Boring)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은 행정부 차원에서 암호화폐를 제도권에 편입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것”이라며, “이제는 정치적인 레벨에서도 디지털 자산이 주요한 이슈가 됐다”고 평가했다.
시장 참여자들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투자사 캐피털벤처스는 “트럼프의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 본토에서 프로젝트 개발과 자금 조달이 쉬워지고, 글로벌 유동성도 미국으로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공화당이 상원 다수당을 차지할 경우, 암호화폐 규제 완화 입법이 탄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현실적인 한계도 지적된다. 행정부 계획이 의회를 통과하기 위해선 민주당과의 조율이 불가피하며, 기존 금융기관과 규제 당국의 반발이라는 장벽도 남아 있다. 다만, 트럼프의 정치적 의지가 강력하다는 점에서, 향후 블록체인 및 웹3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클 것이란 기대가 크다.
이번 캠페인 공약은 지난달 밝혔던 정부 금고의 국가 암호화폐 준비금 도입 구상과도 맥이 닿아 있다. 에너지 비용이 적고 확장이 쉬운 신규 프로토콜을 통한 준비금 확보 방안이 검토 중인 가운데,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 같은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체인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연이은 정책 메시지는 단순한 선거용 레토릭을 넘어 암호화폐 시장에 실질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업계는 그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디지털 자산을 미국 주요 금융 인프라의 일부로 편입하려는 제도 개편이 본격화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