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정책연구소가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구축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예산 중립적 수단으로 ‘비트본드(BitBonds)’를 제안하였다.
1일(현지시간)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비트코인정책연구소(Bitcoin Policy Institute, BPI)는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기반 재무부 국채인 ‘비트본드(BitBonds)’를 발행해 재정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비트코인 보유량을 확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해당 제안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3월 6일 발동한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 구축 행정명령에 대응해 발표되었다.
제안서에 따르면, 비트본드는 연 1%의 고정 이자를 미국 달러로 지급하며, 기존 국채보다 낮은 이자율을 통해 발행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발행 수익금의 90%는 일반 정부 예산에 사용되고, 나머지 10%는 비트코인 매입에 활용되어 국가 준비금으로 편입된다. 투자자는 이자 수익과 함께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따른 잠재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정부도 그 일부를 확보한다.
이번 아이디어는 뉴마켓캐피털(Newmarket Capital) 및 배터리파이낸스(Battery Finance) 창립자 앤드루 혼스(Andrew Hohns)와 BPI 전무이사 매슈 파인즈(Matthew Pines)가 공동 작성한 정책 제안서에서 발표되었으며, 미국이 세계 금융·기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활용해 부채를 줄이고 새로운 통화질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도구로 비트본드를 소개하였다.
현재 미국은 12개월 이내에 만기 도래하는 연방 정부 부채 9조3000억 달러를 안고 있으며, 현행 시장 이자율은 4.5% 수준으로 지속적인 이자 부담이 정부 재정과 성장 여력을 제한하고 있다. 제안서에 따르면, 2조 달러 규모로 비트본드를 발행할 경우 연간 약 700억 달러, 10년간 최대 7000억 달러에 달하는 이자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연방정부가 이미 보유한 약 20만 비트코인 중, 피해자 환급을 제외한 약 10만3500 BTC를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와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은 예산을 추가로 소요하지 않는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추가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제안서는 또한, 비트본드를 통해 미국 가계가 비트코인 성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세금 혜택을 포함한 구조를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대중화를 촉진하고 금융 접근성을 확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예산 중립형 비트코인 확보 방안으로는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매각, 금 보유고 평가 방식 조정 등도 함께 검토되고 있다. 베센트 장관은 향후 60일 이내 관련 법률 및 투자 조건을 종합 평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