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9만2000달러 부근에서 조정을 받은 후, 8만 달러 지지선에서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상승세의 동력이 확고하다고 보기엔 아직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요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면 단기적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일간 차트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200일 이동평균선인 약 8만7000달러 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다. 앞서 8만8000달러 지지선이 무너진 데 이어, 8만 달러 부근에서 일시적 안정을 찾았지만, 아직 완전한 회복세로 보기에는 역부족이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강한 상승 추세를 재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9만2000달러 선을 되찾고 그 위에서 안정적인 거래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4시간 봉 기준으로 살펴보면, 최근 8만9000달러선에서 하락세가 본격화됐으며, 이는 상승 쐐기 패턴의 하락 돌파에 따른 것이다. 이후 비트코인은 8만 달러대에서 단기 바닥을 다지고, 현재는 8만4000~8만5000달러 영역을 재돌파 시도 중이다. 상대강도지수(RSI) 역시 과매도 구간에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어 단기 반등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다. 그러나 이 구간을 강하게 돌파하지 못하면 가격이 다시 8만 달러를 하회하거나, 더 낮은 7만5000달러대까지 밀릴 가능성도 있다.
온체인 지표에서도 시장의 불확실성은 감지된다. 최근 단기 보유자 손익비율(SOPR)이 ‘1’ 이하로 떨어지며, 비트코인을 최근에 매수한 투자자들이 손실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투자자 심리가 위축됐음을 반영하며 상승세에 부담을 주는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하락 추세에서 SOPR이 1 미만으로 하락한 뒤 가격 반등이 동반돼야 바닥 신호로 해석된다. 현재로선 해당 지표가 다시 1 이상으로 전환되지 않는 한, 반등 신호로 보기에 무리가 있다는 평가다.
요약하자면, 비트코인의 단기 추세 전환 여부는 8만7000달러~9만2000달러 구간을 얼마나 빠르고 강하게 돌파하는지에 달렸다. 기술적, 온체인 지표 모두 회복세 초입 단계를 시사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상승세 전환을 위해선 수급과 심리 회복이 동시에 뒷받침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당분간 시장은 보합세 속에 주요 기술적 지지선과 저항선 간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