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국세청 디파이 규제 철회안 곧 서명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세청(IRS)의 '디파이 브로커 규정' 철회 결의안에 곧 서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크립토인아메리카 진행자 엘리노어 테렛이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전했다. 상원에서 공동 결의안을 발의한 상원의원 테드 크루즈가 서명식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말 상원이 해당 결의안을 찬성 70표, 반대 28표로 통과시킨 바 있다. 디파이 브로커 규정은 디파이 분야 브로커에게 디지털자산 판매에 따른 총 수익을 보고하도록 하는 것으로, 암호화폐 업계는 줄곧 규정 철회를 요구해왔다.
홍콩 SFC, 해시키·OSL의 ETH 스테이킹 기능 승인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해시키(HashKey) 및 암호화폐 거래소 OSL이 신청한 이더리움 스테이킹 기능 제공을 승인했다. 해시키 홈페이지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더리움 현물 ETF 보유를 통해 스테이킹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미 SEC-리플, 법원에 항소 보류 요청서 제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이 당사자 간 합의에 따라 항소 진행을 보류해달라고 요청하는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에 따르면 이들의 합의 건은 위원회의 승인을 대기 중으로, 리플은 SEC 소송 관련 준비서면을 마감일인 4월 16일(현지시간) 제출하지 않을 계획이다.
그레이스케일, ENA·BNB·ONDO 등 26종 투자상품 검토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미국 자산 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이 향후 투자 상품으로 고려 중인 디지털 자산을 발표했다. △APT △ARB △TIA △HBAR △MNT △TON △TRX △VET △AERO △BNB △ENA △HYPE △JUP △ONDO △PENDLE △PLUME △AIXBT △IMX △IP △AKT △FET △AR △EIGEN △GEOD △HNT △JTO 등이 포함됐다.
美 상장사 셈러사이언티픽 회장 "BTC 보유량, 계속해 늘릴 것"
나스닥 상장 의료기술업체 셈러사이언티픽(Semler Scientific, 나스닥 티커: SMLR) 회장 에릭 셈러(Eric Semler)가 비트코인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계속해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상당한 규모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비트코인 가치는 계속해 상승하고 있고, 가장 중요한 것은 주주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초창기부터 비트코인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앞으로도 계속 그러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월 기준 셈러사이언티픽 보유량은 3,192 BTC로 알려졌다.
월드리버티파이낸셜, 알트코인 구매 주소로 77.5만 USDC 이체
온체인 분석업체 아캄(ARKM)이 공식 X를 통해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이 메인 월렛에서 알트코인 구매에 주로 사용하는 월렛으로 77.5만 USDC를 이체했다"고 분석했다. 현재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은 ETH, WBTC, MNT, AVAX, TRX, LINK, AAVE, ENA, MOVE, ONDO, SEI 등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뉴햄프셔주 하원, BTC 비축안 통과
미국 뉴햄프셔주 하원이 사실상 BTC 비축 법안인 디지털자산 투자 법안(HB302)을 통과시켰다고 워처구루 X 계정이 전했다. 이 법안은 주정부가 일반 기금, 수익 안정 기금 등의 5%를 디지털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수이 "TVL 10%, BTC 관련 자산으로 구성"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가 공식 X를 통해 "이제 수이 네트워크 상의 락업 예치금(TVL)의 10%는 WBTC, LBTC, stBTC를 포함한 BTC 관련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전했다. 이어 수이는 "우리는 항상 수이가 BTCFi를 위한 것이라고 말해왔고, 이제 커뮤니티 모두 동의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센트리퓨지, 멀티체인 실물자산 토큰화 플랫폼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실물자산(RWA) 기반 탈중앙 대출 프로토콜 센트리퓨지(CFG)가 최근 멀티체인 실물자산 토큰화 플랫폼 센트리퓨지 V3를 출시했다. 해당 플랫폼은 멀티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웜홀(W)과의 협업을 통해 출시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펀드 운용사와 투자자가 여러 블록체인에서 토큰화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센트리퓨지 V3는 우선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애너모이(Anemoy)의 2.3억 달러 규모의 미 국채 투자 펀드의 토큰화 자산을 취급할 예정이다.
암호화폐 VC 노드 캐피털, 유동성 토큰 펀드 출시
암호화폐 벤처캐피털 노드 캐피털(Node Capital)이 유동성 토큰 펀드를 출시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상품은 상장된 토큰에 투자하는 유동자산 개방형 펀드로, 분기별로 자금을 모집한다. 노드 캐피털 창립 파트너인 아모스 메이리(Amos Meiri)는 "약세 시장 상황이 최적의 진입 시점이라고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PROMPT 상장
코인베이스가 웨이파인더(PROMPT)를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유동성 조건이 충족되면 금일(4월 10일 현지시간) 늦게 거래가 시작된다. PROMPT는 익스페리멘털(Experimental, 리스크 높은 자산 표시) 라벨로 상장된다.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COMP·UXLINK·ATH 무기한 선물 상장
코인베이스(COIN)의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익스체인지(Coinbase International Exchange) 및 코인베이스 어드밴스드가 COMP, UXLINK, ATH 무기한 선물 상장을 예고했다. 이들 종목은 오는 17일 18시 30분(한국시간) 이후 거래가 시작될 예정이다.
업비트, VAL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가 네트워크 이슈에 따라 밸리디티(VAL)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BTC $80,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80,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79,965.9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79,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79,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78,981.8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