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DePINA 부트캠프] 현대원 서강대 메타버스대학원 원장, "AI 시대의 인프라 혁신, DePIN이 이끈다"

2
3

현대원 서강대학교 메타버스 전문대학원 원장은 27일 열린 'DePINA: DePIN Accelerator KOREA' 부트캠프에서 기초강의을 통해 "DePIN(탈중앙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이 AI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인프라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DePIN이 제공하는 분산형 자원 구조와 사용자 참여형 보상 체계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DePINA: DePIN Accelerator KOREA' 부트캠프

현대원 서강대학교 메타버스 전문대학원 원장은 27일 열린 'DePINA: DePIN Accelerator KOREA' 부트캠프에서 기초강의을 통해 "DePIN(탈중앙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이 AI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인프라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DePIN이 제공하는 분산형 자원 구조와 사용자 참여형 보상 체계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현 원장은 최근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들의 요금 체계가 복잡해지고 있는 상황을 언급하며, "단순해 보이는 가격 정책 이면에 데이터 전송 무료 한도 축소, 구간별 요율 조정 등 실질적 요금 인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사용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DePIN을 소개했다.

DePIN은 전 세계 분산된 참여자들이 스토리지, GPU 연산, 통신 인프라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직접 보상을 받는 구조를 갖춘다. 중앙 집중형 데이터센터에 의존하지 않아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낮고, 데이터 전송 비용 역시 거의 부과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현대원 원장은 DePIN이 커뮤니티 주도형 거버넌스 구조를 채택해 네트워크 운영과 요금 결정 과정에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ePIN의 성장세도 주목할 만하다. 2022년 100개 미만이던 프로젝트 수는 2년 만에 1170개로 늘어났고, 현재 약 350개 토큰이 발행되어 있으며, 이들의 총 시가총액은 약 500억 달러(한화 약 50조 원)에 달한다. 현대원 원장은 이 같은 수치가 DePIN 생태계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DePIN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기술적 성숙도 확보, 규제 및 법적 불확실성 해소, 시장 신뢰도 제고를 꼽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암호화폐에 대한 제도적 미비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 종속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며, 빠른 법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대원 원장은 "DePIN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AI 및 데이터 중심 사회에 부합하는 유연하고 분산된 인프라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며 "향후 기술과 제도가 뒷받침된다면 DePIN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인프라 표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DePINA: DePIN Accelerator KOREA' 부트캠프는 현재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2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27 19:46:3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5.04.27 16:58:0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