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Web3 전문 행사 'HashPort・WebX 라운드테이블'에서, 일본 암호화폐 규제 체계의 현실과 향후 개혁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공개된 ‘慶應대학 Web3 지갑 연구보고서’는 일본의 Web3 산업이 마주한 규제상의 장벽을 부각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보고서를 주도한 아ンダーソン・毛利・友常 법률사무소의 변호사 河合健은 Web3 산업의 핵심이 되는 ‘논카스토디얼 지갑’에 주목했다. 그는 이 지갑이 이용자 스스로 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돼 다양한 Web3 서비스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기존의 암호화폐 거래소가 제공하는 카스토디얼 지갑은 중앙 집중형 방식으로 운영돼 해킹 등 보안 위험의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KDDI의 Web3 추진 부서장 舘林俊平는, "일본의 현재 규제는 금융업 기반의 비즈니스 전개에는 지나치게 높은 장벽"이라며, Web3 기술 기반 기업이 일본 내에서 성장하기에 어려운 환경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일본과 해외의 규제 수준 차이가 커짐에 따라 국내 사용자 기반이 점차 해외 기업 쪽으로 이탈하는 ‘산업 공동화’ 우려도 덧붙였다.
실제로, 2017년 제정된 일본의 암호화폐 교환업 규제는 DeFi나 논카스토디얼 지갑이 일반화되기 전의 틀에 머물러 있다. 이는 기술적인 발전과 규제에 간극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Web3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河合健은 "교환업이 아닌 '접근 제공자' 역할만 하는 지갑 서비스에 동일한 수준의 규제를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짚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그는 ‘중개 사업자 전용 라이선스’ 도입을 제안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논카스토디얼 지갑을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전체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않고도 거래소와 API 연동을 통해 합법적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Web3 환경 내 혁신기업들의 자율성과 합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안으로 기대된다.
한편 慶應대학의 교수진도 경제법 관점에서 시대의 흐름과 기술에 맞는 유연한 규제 전환이 시급하다는 견해를 내놨다. 특히 DeFi 규제에 대해선 "중앙화 전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종래 모델은 탈중앙 프로토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며, 기술 중심의 새로운 틀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최종 토론을 정리한 田村次朗 명예교수는 "Web3 산업은 기존 규제의 단순 확장이 아니라, 발상의 전환을 통해 전 세계와 경쟁하는 새로운 룰을 일본이 선도적으로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그 일환으로 3월 안에 정식 발표될 예정이다.
이번 발표는 단순한 학술적 제언이 아닌, 실제로 일본의 Web3 산업의 방향성을 결정할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 관심이 집중된다. 논카스토디얼 지갑과 DeFi 등 새로운 기술의 발전에 걸맞은 규제 체계의 정비는 일본이 글로벌 Web3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을지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