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BOF 현장] ‘결제 시스템의 미래’ 패널 토론…“암호화폐, 금융문제의 궁극적 해결책 될 것”

작성자 기본 이미지
Nicole Cha 기자

2018.06.29 (금) 21:07

대화 이미지 0
하트 이미지 0

2018 블록체인 오픈포럼 첫째 날, ‘결제 시스템의 미래’라는 주제로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글로벌 블록체인 재단(Global Blockchain Foundation)의 제이슨 장(Jason Jang) 한국 지사장의 진행하에 퓨즈엑스(FuzeX)의 다니엘 김(Daniel Kim) 이사, 모나코(Monaco) 공동창립자 바비 바오(Bobby Bao), 레이트3(Rate3)의 CEO 제이크 고(Jake Goh), 아다라(Adara)의 공동창립자 스텐 록함(Sten Lockholm), 케이페어(Keypair)의 이창근 대표, 페이엑스(PAYX)의 서상재 대표가 패널로 참석했다.

“암호화폐 결제가 실현 가능한 일인가”라는 제이슨 장의 첫 질문에 대부분의 패널들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바비 바오는 “현재로도 가능하다. 이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즉답했고 이창근 대표는 “지불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물론 여기에는 추가 조건이 붙는데, 제이크 고는 “암호화폐가 법정통화처럼 사용되려면 가격 변동성을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고, 스텐 록함은 “보안성을 갖춘 기기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서상재 대표는 “월렛을 통한 송금에는 문제가 없다. 월렛 간 지불은 가능하지만 환불 등의 상황은 아직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 금융기관 등이 중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며 “미래에는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가 이미 시장에 존재하는데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바비 바오는 “결제 시간이 줄어들고 언제 어디서든 24시간 거래가 가능해 기존 시스템보다 더 발전한 버전”이라고 장점을 설명했다. 이장근 대표 또한 “전통적 금융 시스템의 문제는 수수료다. 블록체인 도입 전까지는 대안이 없었을 뿐”이라며 블록체인의 안전성과 확장성을 장점으로 꼽았다.

가장 큰 화두는 수수료 문제라는 데 패널들은 동의했으며, 암호화폐 결제 시 발생하는 수수료에 대해서 바비 바오는 “기술 적용 범위가 넓어지면 앞으로 수수료는 더 낮아질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이장근 대표 또한 “수수료를 허들로 보지 않는다”고 답했다.

반면 다니엘 김은 “암호화폐 결제의 경우 수수료보다 실용성의 문제를 따져봐야 한다. 일본의 경우 암호화폐 결제기가 도입됐지만 가격 변동성 때문에 손실이 났다고 한다. 아직까지는 시기상조이며, 기술이 발전하고 암호화폐 가격이 안정되면 수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만약 누군가 편의점에 갔다고 가정하고 현금, 신용카드, 비트코인 중 비트코인 결제를 독려할 것이냐는 질문에도 대다수 호의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제이크 김은 “5~7년 뒤쯤 암호화폐는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을 것이다. 현재도 진행 중이며 더 이상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고 바비 바오는 “고객들은 가장 '스마트'한 결제 수단을 선택할 것”이라고 답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업계 관계자들의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스텐 록함은 “커뮤니티의 역량이 중요하다. 남미의 경우 현지 통화를 꺼려하고 미 달러를 선호한다. 이처럼 선진국보다 부정부패가 만연해 투명성이 필요한 국가부터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서상재 대표는 “일단 고객의 결제 습관을 바꾸는 것이 큰 허들, 콜드월렛을 가지고 다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패널들은 기존 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새로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제이크 고는 “금융이라면 하이브리드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고, 스텐 록함은 “향후 중앙화냐 탈중앙화냐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 시점은 좋은 아이디어는 넘쳐나지만 솔루션이 결정되지 않은 과도기”로 평가했다.

이창근 대표 또한 “지금은 전환기다. 규제 관련 문제가 많은 이슈가 되고 있다. 암호화폐는 금융기관에 비해 탈중앙화되어 있지만 문화적 특성 탓에 기존 시스템과 어느 정도는 협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5~6년 뒤 탈중앙화된 암호화폐가 금융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라는 비전을 밝혔다.

현재 한국은 암호화폐 열기는 높으나 실제 소유자 수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받고 있다. 패널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사용자 수를 늘리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마케팅을 비롯한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각오를 다지며 토론을 마무리지었다.

차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