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 반도체에 새 관세 예고… 애플 등 기술 기업 긴장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1
4

미 상무장관이 스마트폰·반도체에 대한 관세 면제가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 조치와 상반된 발언으로, 기술 관세 부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美, 반도체에 새 관세 예고… 애플 등 기술 기업 긴장 / TokenPost Ai

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도입된 *관세 면제조치*가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불과 이틀 전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면제 조치와는 상반된 메시지로, 조만간 새로운 *기술 관세*가 부과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목된다.

루트닉 장관은 4월 13일(현지시간) 미국 ABC 뉴스의 '디스 위크(This Week)' 인터뷰에서 “현재 일부 제품들이 상호주의 기반 관세에서는 면제되었지만, 반도체에 대해서는 약 한두 달 내 새로운 관세가 시행될 예정”이라며 "이번 면제가 영구적인 것이 아님을 명확히 알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 조치는 외국과의 협상 대상으로 삼을 수 없으며, 우리의 안보와 제조 기반 확보를 위한 핵심 분야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지난 금요일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이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 제품들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주의 관세'에서 면제한다는 새로운 지침을 발표한 직후 나왔다. 그러나 루트닉 장관은 그 면제조차도 제한적이며, 추가 조치가 임박했음을 시사함으로써 시장의 긴장감을 다시 끌어올렸다.

최근 미·중 무역전쟁은 다시 격화되고 있다. 지난주 중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보복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린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수입관세를 145%로 인상했다. 이 같은 상호 보복 관세 강화는 양국 간 무역 갈등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 중 하나는 애플(AAPL)이다.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생산을 중국에서 진행하고 있어, 양국 간 통상 갈등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편이다.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관세 정책을 발표한 이후 여전히 반등하지 못한 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 투자자들은 추가 관세가 애플의 공급망과 수익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몇 주 안에 구체적인 기술 관세 조치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루트닉 장관이 직접 언급한 것처럼 반도체와 같은 전략적 부문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자국 내 생산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셈이다.

이번 발언은 단기적으로 미국 기술 기업과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가 본격화되는 만큼, 무역 의존도가 높은 주요 테크 기업들의 리스크 관리 역량이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달돌달돌

2025.04.14 09:58:4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