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해 도입된 *관세 면제조치*가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불과 이틀 전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면제 조치와는 상반된 메시지로, 조만간 새로운 *기술 관세*가 부과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목된다.
루트닉 장관은 4월 13일(현지시간) 미국 ABC 뉴스의 '디스 위크(This Week)' 인터뷰에서 “현재 일부 제품들이 상호주의 기반 관세에서는 면제되었지만, 반도체에 대해서는 약 한두 달 내 새로운 관세가 시행될 예정”이라며 "이번 면제가 영구적인 것이 아님을 명확히 알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 조치는 외국과의 협상 대상으로 삼을 수 없으며, 우리의 안보와 제조 기반 확보를 위한 핵심 분야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지난 금요일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이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 제품들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주의 관세'에서 면제한다는 새로운 지침을 발표한 직후 나왔다. 그러나 루트닉 장관은 그 면제조차도 제한적이며, 추가 조치가 임박했음을 시사함으로써 시장의 긴장감을 다시 끌어올렸다.
최근 미·중 무역전쟁은 다시 격화되고 있다. 지난주 중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보복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린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수입관세를 145%로 인상했다. 이 같은 상호 보복 관세 강화는 양국 간 무역 갈등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 중 하나는 애플(AAPL)이다. 애플은 대부분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생산을 중국에서 진행하고 있어, 양국 간 통상 갈등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편이다.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관세 정책을 발표한 이후 여전히 반등하지 못한 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미 투자자들은 추가 관세가 애플의 공급망과 수익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몇 주 안에 구체적인 기술 관세 조치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루트닉 장관이 직접 언급한 것처럼 반도체와 같은 전략적 부문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자국 내 생산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셈이다.
이번 발언은 단기적으로 미국 기술 기업과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가 본격화되는 만큼, 무역 의존도가 높은 주요 테크 기업들의 리스크 관리 역량이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