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일시적으로 전자제품 일부에 대한 상호 관세 면제를 시행한 가운데,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이 이 조치가 한시적일 것임을 분명히 밝혔다. 13일(현지시간) 루트닉 장관은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이 지난 12일 발표한 관세 면제 조치에 대해 "향후 한두 달 안에 반도체 부문에 대한 별도의 ‘섹터별 관세제’가 적용될 것"이라며 끝내 장기적인 특혜는 아님을 강조했다.
루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반도체, 자동차 산업을 언급하며 해당 품목에 대해 협상 여지 없는 섹터별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핵심 국가안보 품목은 반드시 미국에서 제조돼야 한다는 점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미국과 중국이 최종적으로는 무역협상 타결에 도달할 것으로 낙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관세 면제 조치는 스마트폰, 그래픽 프로세서, 컴퓨팅 칩 등 반도체 관련 전자제품에 한정된 것이며, 시장이 기대했던 장기적 관세 유예와는 거리가 멀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안보와 기술 주권을 앞세워 핵심 산업의 국내 생산을 강조함에 따라 향후 무역정책이 지속 가능한 전략적 기조로 굳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이런 관세 정책은 금융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안겼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본격화한 이후 암호화폐와 증시가 동반 급락하면서 수조 달러 규모의 가치는 증발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는 "S&P500지수의 변동성이 비트코인(BTC)을 넘어섰다"며, 4월 기준 S&P500 변동성 지수가 74를 기록해 비트코인의 71보다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반면, 트럼프 정부가 90일 간의 관세 유예를 고려 중이라는 루머가 퍼지면서 일시적으로 2조 달러(약 2,920조 원) 규모의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기도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관련 루머를 부인한 후 시장은 급락했고, 실제로 며칠 뒤 관세 유예가 발표된 이후에야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사태는 글로벌 교역에 대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자산시장 전반에 걸쳐 얼마나 빠르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줬다. 미국 내 제조 부흥을 강조하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방향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금융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은 이에 따른 고질적인 변동성을 각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