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BTC) 선물 시장 디레버리징 가속…중장기 회복 신호인가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1
3

비트코인(BTC) 선물 시장에서 레버리지 비율 급감과 오픈 이자 감소가 관찰되며 디레버리징이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리스크 완화와 함께 비트코인이 중장기적으로 회복 기반을 마련 중이라고 평가했다.

비트코인(BTC) 선물 시장 디레버리징 가속…중장기 회복 신호인가 / TokenPost AI

비트코인(BTC) 선물 시장이 최근 몇 주 동안 이어진 조정의 영향으로 과열 상태에서 벗어나며 건전한 균형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에 따르면, 오픈 이자(Open Interest) 대비 BTC-USDT 선물 레버리지 비율은 2025년 초 이후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이처럼 급격한 디레버리징은 최근 대규모 청산이 잇따르며 상당수 파생상품 트레이더가 시장에서 이탈한 데 따른 결과다.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이 줄어들면서, 비트코인은 단기적 불안을 수반하더라도 중장기적인 회복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비트코인의 오픈 이자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23년 12월 18일 718억 달러(약 104조 8,200억 원)에 달하던 규모는 2025년 4월 8일 기준 518억 달러(약 75조 6,300억 원)로 약 28% 하락했다. 이는 현재 시장이 경험하는 디레버리징의 규모를 보여주는 지표이며, 일부 시장 참여자가 가격 변동을 주도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의 중장기적 가격 안정성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21st 캐피털 공동 창립자인 시나(Sina)는 최근 X에 게시한 포스트에서 자신이 개발한 '비트코인 분위수 모델(Bitcoin Quantile Model)'을 업데이트하며 "비트코인 리스크가 크게 줄어든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10만 9,000달러에서 7만 4,500달러까지 하락하면서 이미 75~80%의 조정을 마쳤다고 설명했다.

역사적 데이터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그런 조정 흐름에서 최대 34%까지 하락한 사례가 있었으며, 이번 하락폭은 약 31%로 집계됐다. 시나는 경기침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7만 달러까지가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진단하면서, "거시 경제가 불확실한 상황이지만 비트코인은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 여전히 과소평가된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추가 반등의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견해도 나온다. 암호화폐 분석가 악셀 애들러 주니어(Axel Adler Jr.)는 비트코인이 당분간 ‘변동성 구간(volatility corridor)’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단기 투자자들의 매수 평균 가격을 기반으로 7만 5,000달러에서 9만 6,000달러 사이의 등락이 지속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애들러 주니어는 향후 몇 주간 이 구간 내 가격 조정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365일 이동평균선 위의 가격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연중 최저치인 7만 4,500달러를 하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앞서 시나가 언급했던 7만 달러 수준이 단기 바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이 다시 떠오르면서 일부 투자자는 비트코인을 미 달러화보다 지속 가능성이 있는 자산으로 주목하고 있다. 거시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시장은 데이타 중심의 트렌드와 레버리지 축소 흐름이 향후 비트코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4.10 10:07:3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