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탄생의 주역이 미국 정부에 의해 이미 확인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제임스 머피(James Murphy)가 미국 국토안보부(DHS)를 상대로 정보공개법(FOIA) 소송을 제기하면서, DHS가 비트코인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의 정체를 알고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머피는 이번 소송에서 "2019년 DHS 소속 특수요원 라나 사우드(Rana Saoud)가 한 컨퍼런스에서 동료 요원들이 비트코인 창시자 4명을 면담했다고 언급했다"며, 해당 면담의 기록을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는 지난 4월 7일 SNS X(구 트위터)를 통해 소송 제기 사실을 알리며, "그 만남이 실제로 있었다면 이를 뒷받침할 서류나 이메일, 메모가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우드는 2019년 마이애미에서 열린 오프쇼어얼러트 컨퍼런스에서 “DHS 요원들이 캘리포니아로 날아가 비트코인 창시자라 여겨지는 네 사람과 직접 면담했다”며 “비트코인을 왜 만들었는지, 무엇이 목적이었는지에 대해 질문했다”고 발언한 바 있다. 머피는 이러한 발언에 근거해 DHS가 중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소송을 제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보공개 소송은 비트코인 정체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 노력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지난해에는 HBO 다큐멘터리가 사이퍼펑크 피터 토드(Peter Todd)가 사토시일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당사자가 이를 강력히 부인했고 암호화폐 업계 전반에서도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외에도 닉 재보(Nick Szabo), 아담 백(Adam Back), 고(故) 할 피니(Hal Finney) 등이 사토시 후보로 거론됐지만 모두 관련설을 부인해 왔다.
머피는 자신이 사우드 특수요원의 발언을 과도하게 해석한 것일 수도 있고, 실제 면담이 진짜 사토시가 아닌 다른 인물들과 이뤄졌을 가능성 역시 인정했다. 그럼에도 그는 해당 정보가 비트코인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며 공익 차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머피는 이번 소송에 정보공개법 소송 전문 변호사인 브라이언 필드(Brian Field) 전 연방검사의 지원을 받고 있다. 그는 DHS가 자료 제공을 거부할 경우 끝까지 법적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편 비트코인 커뮤니티는 사토시 신원의 공개를 놓고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부는 사토시 신원 공개가 비트코인의 분산성과 철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반면, 또 다른 일부는 사토시가 미국 정부와 무관한 인물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비트코인의 정체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뜨겁지만, 실체적 증거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