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금값 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예상보다 뜨거운 미국 인플레이션 영향

작성자 이미지
김하린 기자

2025.03.31 (월) 21:01

0
1

금 가격이 미국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와 지정학적 불안으로 사상 최고치를 계속 경신하는 가운데, 중앙은행 매입과 브릭스 국가들의 누적 수요가 강세장의 핵심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값 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 예상보다 뜨거운 미국 인플레이션 영향 / 셔터스톡

금이 국제 투자 시장의 표준 헤지 수단으로서의 위치를 되찾은 가운데,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과 거시경제 불안정성, 시장 혼란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계속해서 금을 매입하면서 3월 28일 귀금속 가격이 새로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30일(현지시간) 비트코인닷컴뉴스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1트로이온스당 3,086.70 달러까지 치솟은 후 다소 안정화되었으며, 선물 가격은 3,100 달러 선을 돌파했다. 분석가들은 예상보다 약간 높게 발표된 인플레이션 수치가 금값이 새로운 고점에 도달하는 데 완벽한 환경을 조성했을 수 있다고 논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은 이러한 끝없는 강세장의 원인을 금의 기본적 특성에 귀결시키고 있으며, 금이 거래 상대방 위험이 없고 통제된 위험성을 가진 모든 종류의 시장 불안정성에 대한 헤지 수단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제이너 메탈스(Zaner Metals)의 부사장 겸 선임 금속 전략가인 피터 그랜트(Peter Grant)는 여전히 금의 기본 요소가 시장을 움직이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는 로이터에 "관세, 무역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학자 제임스 리카드(James Rickards)는 이번 강세장의 이유가 여전히 동일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앙은행의 매입, 브릭스(BRICS)의 축적, 정체된 광산 생산량, (미국 국채가 아닌) 우량 자산으로의 도피, 다변화,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헤지' 역할이 주요 원동력"이라고 지적했다.

리카드는 강세장이 포물선 형태로 급등하기 위해 아직 나타나지 않은 또 다른 변수를 언급했다. 바로 아직 관망하며 금을 기다리고 있는 소매 투자자들의 높은 참여다.

3월 19일에도 금은 1트로이온스당 3,057 달러의 현물 가격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 귀금속은 올해만 18번째 기록을 세웠으며, 많은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와 다양한 국제 군사 분쟁에 관해 취할 조치에 따라 금값이 더 오를 수 있다고 여전히 믿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