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비트코인(BTC)을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지정하고 관리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백악관 암호화폐 정책 수석인 데이비드 색스는 최근 블룸버그 테크놀로지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희소하고 가치 있는 자산’이라며 장기적인 국가 전략 차원에서 보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 정부는 약 20만 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색스는 정확한 규모는 알 수 없다며 전면적인 정부 차원의 감사를 통해 디지털 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든 정부 기관이 보유한 디지털 자산을 확인하고, 장기적 가치 극대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6일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 전략 비축과 디지털 자산 비축 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연방 기관들은 보유 중인 암호화폐 자산을 점검하고,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해 재무부 장관이 디지털 자산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특정 자산을 재조정하거나 매각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고 색스는 덧붙였다. 그러나 비트코인 비축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보존이 목표"라며 짧은 기간 안에 적극적으로 거래하거나 활용하는 방안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색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에테리움(ETH), 솔라나(SOL), XRP, 카르다노(ADA) 등 주요 암호화폐를 언급한 것에 대해 과도한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시가총액 상위 5개 암호화폐를 언급한 것일 뿐, 정부 차원의 공식 자산 편입 여부는 전반적인 감사 결과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이번 결정을 두고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시장에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유나인드(YouNined)의 조 켈리 CEO는 "이번 결정이 단기적인 가격 상승으로 직결되지는 않겠지만, 명확하고 체계적인 규제가 마련된다면 비트코인의 글로벌 금융 시스템 내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난센(Nansen)의 수석 연구원 오렐리 바테르는 이번 행정명령에서 ‘비트코인 추가 확보 방안을 검토한다’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ZX 스퀘어드 캐피털의 CK 정 대표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 조정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더불어 거시경제 요인이 가격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는 "향후 친(親) 암호화폐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된다면, 2025년부터 반등이 본격화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