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한 달 동안 암호화폐 산업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주요 기관의 친(親) 암호화폐 성향 인사 임명, 새로운 재정 정책 도입, 산업 규제 완화 등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 친 암호화폐 성향의 인사들을 주요 규제 기관에 배치했다. 특히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으로 암호화폐 친화적 입장을 유지해 온 마크 우예다(Mark Uyeda)를 임시 의장으로 임명하며 SEC의 정책 기조 변화를 예고했다. 우예다는 이전 SEC의 규제 접근 방식이 '자본 형성과 투자자 보호라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했다'고 비판하면서 보다 명확한 규제 틀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1월 23일 암호화폐에 특화된 정책 연구 그룹을 출범시켰다. 해당 그룹은 미국을 '암호화폐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행정명령을 통해 출범했으며, 국고 디지털 자산 준비금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연방 차원의 통합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할 계획이다. 다만, 이번 명령에서 연방준비제도(Fed)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는 제외되면서, 행정부의 독자적인 정책 추진 의지가 강조됐다.
재무부 역시 암호화폐에 대한 입장을 크게 전환하고 있다. 1월 27일 친 암호화폐 인사로 알려진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스콧 베선트(Scott Bessent)가 미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됐으며, 그는 "암호화폐 경제는 이미 자리 잡은 현실이며, 이를 수용하는 것이 금융 혁신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리플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역시 "베선트 장관의 임명이 디지털 자산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정책이 불확실성을 키우기도 했다. 2월 2일 멕시코, 캐나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 결정은 금융 시장에 즉각적인 충격을 주었으며, 암호화폐 시장 역시 급격한 변동성을 보였다. 비트코인(BTC) 가격은 관세 발표 직후 상당한 조정을 거치며 글로벌 금융 시장과의 상관관계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향후 트럼프 행정부는 민간 주도의 인공지능(AI) 및 암호화폐 연구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산업의 성장을 장려할 방침이다. 특히 5000억 달러(약 720조 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의 융합 가능성도 모색될 전망이다.
한편, 연방 정부 차원의 규제 완화 움직임과 함께 각 주에서도 암호화폐 관련 법안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미 의회에서도 스테이블코인(STABLE) 법안이 새롭게 추진되면서, 향후 미국 내 암호화폐 법·제도의 변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임기 30일은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로 평가받고 있다. 친 암호화폐 정책이 실제로 어떻게 실현될지에 따라, 향후 업계의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지 아니면 새로운 규제 리스크가 등장할지가 결정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