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로이터 "이더리움 ETF 최종 논의 단계... 빠르면 내달 4 승인 전망"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2024.06.27 (목) 08:32

대화 이미지 6
하트 이미지 15

셔터스톡

셀로, 아이겐레이어 재단 보조금 프로그램 선정
이더리움(ETH) 레이어2 네트워크로 전환을 발표한 EVM 호환 체인 셀로(CELO)가 X를 통해 아이겐레이어 재단의 보조금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셀로는 자체 레이어2 네트워크에서 아이겐DA(데이터 가용성) 활용 지원 방안을 구축하는데 보조금을 활용할 예정이다.

블로핀 "ETH 현물 ETF 승인 결정 앞두고 가격 단기 급등 예상"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블로핀(Blofin)이 보고서를 발표, 이더리움 현물 ETF가 ETH 가격 단기 급등을 이끌 것이라고 예측했다. 보고서는 "미국 내 이더리움 현물 ETF 출시 여부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투자자의 관심이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이더리움 가격이 단기적으로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비트코인의 상대적 강세는 몇 달 동안 지속됐다. 투자자들은 이제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으로 이더리움 가격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라톤디지털, 수익 다각화 위해 지난해부터 KAS 채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업체 마라톤디지털이 채굴 수익 다각화를 위해 카스파(KAS) 채굴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라톤디지털은 지난 2023년 9월부터 KAS 채굴을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약 9,300만 개의 KAS 토큰을 채굴했다. 이는 약 1500만 달러 상당이다.

아브라, 美 25개 주와 라이선스 미보유 혐의 합의... $8,210만 암호화폐 반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브로커리지 플랫폼 아브라(Abra) 및 아브라 CEO 빌 바르하이드(Bill Barhydt)가 라이선스 미보유 사업 운영 혐의와 관련해 미국 25개 주 금융 규제 당국와 합의했다. 아브라는 관련 라이선스 없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한 혐의를 받았다. 합의에 따라 아브라는 미국 25개 주 고객들에게 최대 8,21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반환하고, 미국 아브라 트레이드(Abra Trade) 이용자 대상 암호화폐 거래 등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계획이다. 25개 주에는 워싱턴, 아칸소, 코네티컷 등이 포함된다.

코인베이스 "OCEAN·FET, ASI 토큰 병합 미지원... 거래 지원은 유지"
코인베이스가 공식 X를 통해 "페치에이아이(FET), 오션프로토콜(OCEAN)가 ASI 토큰 병합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코인베이스는 해당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지 않는다. 마이그레이션이 시작되면 사용자는 코인베이스 월렛 등 셀프 커스터디(Self-Custody, 자체 보유) 월렛을 이용해 OCEAN 및 FET를 ASI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다만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FET 및 OCEAN에 대한 거래 지원은 계속 유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로이터 "ETH ETF 최종 논의 단계... 빠르면 7/4 승인 전망"
로이터 통신이 업계 관계자 발언을 인용,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빠르면 7월 4일(현지시간)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프로세스는 자산운용사, 규제 당국, 업계 임원 및 기타 참가자들의 최종 논의 단계에 접어든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특정 발행사 소속 변호사는 "ETF 승인을 위한 마무리 단계에 있다. 1-2주도 남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절차가 여름 중 마무리될 것이라 밝혔었고, 가장 최근에는 ETH ETF 승인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했었다.

폴리마켓 유저, 미 대선후보 첫 TV 토론서 트럼프 'BTC' 언급 확률 44%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의 첫 대선후보 TV 토론을 앞두고, 탈중앙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 사용자들은 해당 토론장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암호화폐 혹은 비트코인 단어를 말할 확률을 44%로 점치고 있다고 DL뉴스가 보도했다. 해당 TV 토론은 오는 27일(현지시간) 진행될 예정이다.

주기영 "미 정부, 압수 물량 매도 안해... 시장 미칠 영향 적어"
크립토퀀트 CEO 주기영이 X를 통해 "미국 정부가 오늘 당장 4000 BTC를 매도하지는 않았지만, 이것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다. 코인베이스 프라임 현물 ETF 유입량은 많을 때는 하루 2만-4.9만 BTC를 처리하고, 적을 때는 6000-1.5만 BTC를 처리한다. 나는 미국 정부가 BTC를 매도하지 않아 발생하는 퍼드(FUD, 두려움과 불확실성, 의심)에 지쳤다"고 말했다. 앞서 언폴디드는 "미국 정부가 법원으로부터 BTC 매도 허가를 받고 하루 만에 약 4000 BTC를 코인베이스에 입금했다"고 전한 바 있다. 이는 마약 밀매업자 Banmeet Singh으로부터 압수한 물량이다.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마감
미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S&P500: +0.16%
나스닥: +0.49%
다우: +0.04%

체이널리시스, 클라우드버스트와 파트너십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공식 X를 통해 오프체인 인텔리전스 업체 클라우드버스트(Cloudburst)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온체인 및 오프체인 데이터를 결합, 범죄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외신 "미국 정부, 3940 BTC 코인베이스 입금"
언폴디드는 "미국 정부가 법원으로부터 BTC 매도 허가를 받고 하루 만에 약 4,000 BTC를 코인베이스에 입금했다"고 전했다. 앞서 디파이 전문 리서치 그룹 디파이널리스트는 미국 법무부가 3940 BTC를 매도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마약 밀매업자 Banmeet Singh으로부터 압수한 물량이다. 룩온체인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현재 213,546 BTC(130.7억 달러)를 보유 중이다.

소식통 "이더리움 현물 ETF, 2~3주 내 출시 합리적"
블록웍스는 소식통을 인용, 이더리움 현물 ETF가 앞으로 2~3주 안에 출시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ETF 발행사는 최근 S-1(증권신고서) 수정본을 제출한 후 아직까지 SEC(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추가 의견을 받지는 못한 상태다. 또 다른 소식통은 현재로서는 7월 4일 이전에 승인이 떨어질 가능성이 낮아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절차가 여름 중 마무리될 것이라 밝혔었고, 가장 최근에는 ETH ETF 승인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언급했었다.

트론 활성 주소 수 증가세...일평균 250만개
인투더블록은 "올 초부터 트론(TRX) 활성 주소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평균 250만개 수준으로, 다른 주요 레이어1을 훨씬 능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 국무부, 4조원 스캠 원코인 창업자에 70억원 현상금 걸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가 40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스캠 프로젝트 '원코인'의 창업자 루아 이그나토바(Ruja Ignatova)에 최대 500만 달러의 현상금을 새롭게 걸었다. 그는 2017년 아테네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후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FBI는 이전에 현상금 25만 달러를 걸었었다.

바이낸스, EU 사용자 카피 트레이딩 중단...미카법 준수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유럽연합 미카(MiCA)법이 곧 시행됨에 따라 유럽 사용자 대상 카피 트레이딩 서비스 제공을 중단한다. 바이낸스 EU 사용자는 6월 27일까지 카피 트레이딩 포지션을 닫아야 한다. 미카법은 6월 30일부터 시행된다.

주피터 창업자 "PPP 밈코인 실험 중"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스왑 애그리게이터 주피터(JUP) 공동 설립자 'meow'가 "PPP 밈코인 실험 중이다. 에어드랍을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고 포스트했다. 그는 최근 밈코인이 잠재력과 악용 가능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면서 주피터는 밈코인 생태계를 장려 및 개선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넥스트젠 벤처 파트너 "BLAST 에어드랍 물량 터무니 없어"
X 팔로워 3만명 이상을 보유한 넥스트젠 디지털벤처(NextGen Digital Venture) 파트너 Christian2022.eth가 "블라스트(BLAST)에 5000만 달러 이상을 예치했지만 10만 달러 어치 에어드랍을 받았다. 블라스트는 스캠 프로젝트고, 설립자 팩맨은 연쇄 러그 기업가"라고 주장했다. 오늘 업비트에 상장된 BLAST는 최고 43.98원을 터치하고 현재 38원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싱귤래리티넷 CFO "인센티브 네트워크, AI 컴퓨팅 비용 절감 가능"
블록체인+AI 프로젝트 싱귤래리티넷(AGIX)의 최고재무책임자(CFO) 마리오 카시라기(Mario Casiraghi)가 코인텔레그래프에 기고한 칼럼에서 "인센티브 기반 탈중앙화 네트워크는 인공지능(AI)을 위한 컴퓨팅 비용을 수백만 달러 절감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AI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차가 휘발유를 사용하는 것 처럼 컴퓨팅 파워를 연료로 삼는다. 상당한 규모의 데이터 세트에서 원하는 답변을 생성할 때 더 많은 데이터와 빠른 답변을 원할수록 더 많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오픈AI는 GPT-4 학습에 7,800만 달러의 컴퓨팅 비용이 들었고, 구글의 제미나이 울트라는 1.91억 달러를 컴퓨팅 파워에 지출했다. 여기서 인센티브 네트워크는 기업의 하드웨어 투자 비용을 줄여주고, 생태계 참여자에게 동적으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어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라이트코인 "활성 주소 수, BTC·ETH보다 많아"
라이트코인(LTC)은 "LTC 활성 주소 수가 비트코인, 이더리움보다 많다"고 포스트했다. LTC 활성 주소 수는 6월 23일(현지시간) 기준 약 80만개다.

제타마켓, 초기 스테이커에 2000만 ZEX 에어드랍 예정
솔라나(SOL) 기반 디파이 플랫폼 제타마켓(ZEX)이 얼리 스테이커는 스테이킹 에어드랍 자격을 얻는다고 밝혔다. 제네시스 에포크(7/25 종료) 동안 ZEX를 스테이킹하는 사람들에게 토큰 공급량의 2%(2000만 ZEX)를 에어드랍할 예정이다.

웹3 데이터 플랫폼 리댁티드, $1,000만 투자 유치
벤처비트에 따르면 웹3 엔터테인먼트 데이터 플랫폼 리댁티드(Redacted)가 스파르탄그룹이 주도한 펀딩 라운드에서 1,0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세손 캐피털, 애니모카브랜드, 폴리곤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제품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리댁티드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해 보상형 엔터테인먼트 데이터스피어 구축을 목표로 출범한 프로젝트로, 자체 토큰 RDAC로 구동되는 데이터 프로토콜을 개발 중이다.

블라스트 "향후 전용 데스크톱·모바일 월렛 출시할 것"
블러(BLUR) 주도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블라스트(BLAST)가 공식 채널을 통해 "향후 커뮤니티와 협력해 전용 데스크톱·모바일 월렛을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어 "커뮤니티 회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월렛 앱을 출시했으며, 회원들이 2단계를 신청하면 보상과 함께 4개월 후 전체 월렛 기능이 활성화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블러, 시즌4 시작...5억 BLAST 할당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가 시즌4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블러 시즌4에는 5억 BLAST가 할당됐으며, 2025년 6월까지 12개월 동안 진행된다. 블러 이용자는 마켓플레이스 입찰·판매 등록·렌딩 등을 통해 포인트를 얻을 수 있으며, 포인트에 기반해 BLAST를 할당받게 된다. 한편 블라스트도 이날 BLAST와 풀스택 체인을 공식 출시했다고 전한 바 있다.

블라스트, BLAST 토큰 출시
블러(BLUR) 주도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블라스트(BLAST)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BLAST 토큰을 공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적격 사용자는 30일 이내에 1단계 에어드랍을 수령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블라스트는 프로젝트의 다음 단계(2단계)로 풀스택 체인 구축에 돌입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업비트, 빗썸 등 거래소는 27일 00시 BLAST 상장을 예고한 바 있다.

비너스프로토콜 "팀 사칭 이메일 스캠 주의해야"
BNB체인(BNB) 기반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비너스(XVS)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일부 사용자들이 비너스 팀을 사칭한 사기 이메일을 수신하고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 이는 사용자 자산을 빼돌리기 위해 비너스 팀을 사칭하는 명백한 피싱 스캠"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비너스는 "비너스는 홍보용 이메일을 보내거나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수집하지 않는다. 비너스 팀에서 온 이메일은 모두 사기"라고 강조했다.

서클 "유럽 블록체인 협회 아단 합류"
USDC 발행사 서클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유럽 블록체인 협회 아단(Adan)에 합류했다. 서클은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를 준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오는 30일 EU 지역에 시행될 미카법은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투자자 보호 조치 의무를 지우는 동시에 준비금 관련 보다 엄격한 규제를 적용할 전망이다.

알고랜드 재단, 블록체인 기술 활용 인도주의 단체 설립 추진
레이어1 블록체인 알고랜드(ALGO) 재단이 공식 X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 활용 인도주의 단체 휴머니타리안 카운실(The Humanitarian Council) 설립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단체는 재난 지역에 알고랜드 체인 기반 구호금을 전달해 투명성을 개선하고, UN과 기타 단체들과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단체 회원사로는 USDC 발행사 서클, 결제 인프라 서비스 월드페이(Worldpay), 글로벌 개발 기구 머시 캅스 벤처스(Mercy Corps Ventures), UN 개발위원회 등이 있다.

팬케이크스왑, 아비트럼 기반 예측시장 서비스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탈중앙화 거래소(DEX) 팬케이크스왑(CAKE)이 탈중앙화 AI 네트워크 알로라 네트워크(Allora Network)와 파트너십을 체결, 아비트럼(ARB) 체인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시장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팬케이크스왑은 이더리움(ETH)을 시작으로 온·오프체인에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카르다노 설립자 '팩트체크'에 밈코인 RIO 가격 96% 폭락
유투데이에 따르면, 2021년 카르다노(ADA, 에이다) 설립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X(구 트위터) 상에 공유한 앵무새 이미지를 테마로 발행된 밈코인 RIO가 26일 96% 이상 폭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찰스 호스킨슨의 '팩트체크' 여파다. 그는 X에서 카르다노 기반 밈코인 RIO에 대한 의견을 묻는 한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사실 나의 애완 앵무새 이름은 데이지(Daisy)"라고 답했다. 직후 RIO 시세는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곤두박질쳤고, 결국 0에 수렴하고 있다. 최근 카르다노 네트워크에서는 뒤늦은 밈코인 열풍이 불고 있다. 대다수 밈코인들은 커뮤니티의 관심을 끌기 위해 찰스 호스킨슨의 애완동물을 연결지어 발행되고 있다. 특히 카르다노 설립자의 애완 돼지 '나이키'(Nike)를 기반으로 만든 밈코인 NIKE는 지난 주말 ADA 거래량 급등을 주도하기도 했다.

애니모카브랜드, 이르면 내년 홍콩 혹은 중동 증시 상장 검토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NFT 및 블록체인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Animoca Brands) 공동 설립자 얏 시우(Yat Siu)가 "이르면 내년 홍콩 및 중동 증시 상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그는 "증시 상장을 위해 투자은행과 협상을 진행했지만, 아직 어드바이저를 고용한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2022년 기준 애니모카브랜드의 기업 가치는 약 59억 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한편 애니모카브랜드는 지난 2015년 호주증권거래소(ASX)에 상장됐으나, 2020년 재무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으로 인한 회계 투명성 부족을 이유로 상장폐지된 바 있다. 이번 증시 상장 추진은 애니모카브랜드의 두 번째 도전인 셈이다.

코인펀드 CEO "ETH, 현물 ETF 불확실·불완전...브랜딩 부족"
암호화폐 벤처캐피털(VC) 코인펀드(CoinFund) CEO인 크리스토퍼 퍼킨스(Christopher Perkins)가 포춘크립토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ETH)이 직면한 주요 과제 중 하나는 브랜딩"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의 경우 디지털 금으로 알려졌으며, BTC 현물 ETF는 규제 확실성과 투자 경험 개선이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반면 ETH의 경우 현물 ETF 출시 불확실성도 있고, 현물 ETF에선 스테이킹 옵션이 빠져 불완전하기도 하다. ETH 현물 ETF가 승인되더라도 자금이 곧장 크게 유입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이는 암호화폐 주류화와 규제 완화의 단계"라고 덧붙였다.

美 상원 선거 공화당 후보 "선조들은 비트코인 지지자였을 것"
비트코인매거진에 따르면, 다가오는 11월 미국 총선에서 오하이오 주 상원 후보로 출마한 공화당 후보 버니 모레노(Bernie Moreno)가 최근 한 연설에서 "미국을 건국한 선조들은 비트코인 지지자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선조들은 권력의 분산화를 믿고 지지했다"고 덧붙였다.

캣티즌, 프로젝트 수익 1% 기부 대상 단체 선정 커뮤니티 투표 진행
텔레그램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생태계 인공지능(AI) 기반 고양이 양육 게임 캣티즌(Catizen)이 프로젝트 수익금의 1%를 기부할 비영리 단체를 선정하기 위한 커뮤니티 투표를 진행한다. 커뮤니티는 캣티즌의 공식 텔레그램, X(구 트위터) 채널에서 월드애니멀프로텍션(World Animal Protection), 더기빙블록(The Giving Block), PETA, IFAW 등 네 곳 중 한 곳에 투표할 수 있다. 캣티즌은 투표 마감일 기준 가장 많은 표를 획득한 단체에 수익금 1%를 기부할 예정이다. 앞서 캣티즌은 톤 재단과 함께 진행하는 길고양이 구출 사회 공헌 프로그램 '캣티즌 바이브'(Catizen Vibe) 활동의 일환으로, 길고양이 구출 에피소드를 X, 텔레그램 등에 공유한 사용자를 선정해 TON 보상을 지급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캠페인에서는 1만 여명의 유저가 에피소드를 공유했으며, 6.6만 회 이상의 X 좋아요, 12.5만 건 이상의 리트윗, 2.3만 건 이상의 북마크를 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캐시 설립자 조쉬 신시내티, 인터체인 재단 이사회 의장 취임
코스모스(ATOM) 생태계 개발 재단 인터체인 재단(ICF)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조쉬 신시내티(Josh Cincinnati) 지캐시(ZEC) 재단 설립자가 ICF 이사회 의장으로 취임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전까지 임시 의장을 맡았던 페르난도 페도네(Fernando Pedone)는 재단 이사회를 떠난다. 이와 관련 인터체인 재단 측은 "신임 이사장은 향후 이사회의 성장과 거버넌스 책임을 지속하기 위해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이,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퍼와 파트너십 체결..."기관 인프라 확충"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가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퍼(Coppe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수이는 기관 금융 유치를 위한 인프라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코퍼는 온도파이낸스(ONDO)의 미국 국채 기반 토큰 USDY 등 수이 기반 토큰 커스터디를 지원한다. 이와 수이 재단 이사 그렉 시우루니스(Greg Siourounis)는 "코퍼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커스터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코퍼가 수이 생태계에 합류함으로써 대규모 기관의 온보딩을 위한 전제 조건인 인프라를 확보했다. 전통금융의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관심으로, 수이는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고 배포하는 최고의 인프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신 "EU 암호화폐 기업들, 미카법 ESG 보고 기한 관련 혼선 불가피"
유럽연합(EU)의 암호화폐 기업들(CASPS)이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의 ESG(기업에 대한 비재무적 평가 기준이 되는 환경, 사회, 지배 구조 관련 요소) 관련 보고 기한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미카법은 오는 30일 시행될 예정이며, 2025년 1월까지 ESG 관련 데이터를 보고해야 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매체는 "법안 해석 과정에서 ESG 보고와 관련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기업의 ESG 데이터 보고는 암호화폐 채굴과 연관돼 있으며, 이는 대규모 기관 투자자들의 채택을 방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신 "日 외곽 마을, 저출산·고령화 솔루션으로 NFT 도입"
일본 웹3 리서치업체 유리 그룹(Yuri Group)이 일본 외곽 마을의 저출산·고령화 솔루션으로 지역 특산품인 잉어 품종의 NFT 콜렉션 판매를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NFT를 구매하는 경우 디지털 시민권이 부여되며, 2021년부터 현재까지 1,700명이 이를 매수해 42.3만 달러가 조달됐다. 수익금은 지역 학교 운동회 등에 사용됐다. 매체는 "유리 그룹의 프로젝트는 주목받았지만, 현재 해당 지역 디지털 시민권은 DAO 투표과정의 복잡함과 NFT 시장 침체 등 어려움에 직면해있다"고 덧붙였다.

경주마 코인으로 큰 돈"…전직 경찰이 베트남서 '원격 사기'
노인들에게 온라인 경마 게임에 투자하면 큰 돈을 벌 수 있다며 돈을 뜯어낸 전직 경찰 출신 A급 수배범이 베트남 하노이 현지 공안에 체포됐다고 JTBC가 단독 보도했다. 체포된 강모씨는 자신을 온라인 게임 운영사의 회장이라고 소개하며, 게임 속 경주마를 산 뒤 교배시켜 망아지를 팔거나 경기를 진행하면 상금으로 가상화폐를 받을 수 있다고 피해자들을 속였다. 일부 피해자들은 실제로 게임에 투자했지만 수익은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까지 전국에 접수된 강 씨 관련 사건은 사기 등 14건에 달하며, 그는 90년대 2~3년 남짓 순경으로 근무한 이력이 확인됐다. 서울 수서경찰서는 어제 자진 입국한 강 씨를 공항에서 곧바로 체포해 구체적인 사기 수법과 피해 등을 조사하고 있다.

카르다노, 디도스 공격 이후 보안 강화 노드 업그레이드 착수
카르다노(ADA)가 최근 디도스 공격을 받은 뒤 보안 강화를 위해 노드 업그레이드를 시작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카르다노 네트워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생태계 공격 목적으로 추정되는 디도스 공격을 받았지만 치명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카르다노 개발자 커뮤니티 인터섹트(Intersect)는 공격 피해 최소화 솔루션을 논의 중이다.

중동 대체자산 운용사 인베스트콥, 시큐리타이즈와 파트너십...토큰화 펀드 개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중동 최대 대체자산 운용사 인베스트콥(Investcorp)이 증권형 토큰 플랫폼 시큐리타이즈(Securitize)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펀드 토큰화 기술 개발, 상품 출시에 협력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코베일런트, $500만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코베일런트(CQT)가 록트리 캐피털(RockTree Capital)이 주도한 펀딩 라운드에서 5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CMCC 글로벌, 문록 캐피털, 더블피크그룹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블록체인·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UAE 변호사 "중앙은행 스테이블코인 규제안, 암호화폐 결제 금지 가능성"
아랍에미리트(UAE) 현지 변호사 이리나 히버(Irina Heaver)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UAE 중앙은행(CBUAE) 이사회가 최근 승인한 신규 스테이블코인 규제안은 UAE 내 암호화폐 결제를 금지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규제안에는 스테이블코인이 UAE 법정화폐인 디르함화(AED)로 뒷받침 돼야 하며, 디지털 자산 또는 알고리즘과 연결되면 안 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따라서 디르함화 기반 결제 토큰 및 등록된 외화 결제 토큰이 아닌 이상 상품 및 서비스에 암호화폐 결제를 사용할 수 없다. 문제는 현재까지 이러한 토큰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중앙은행의 규제안은 UAE 정부의 친상거래, 친투자적 입장과 충돌할 수 있다. UAE는 자본 통제가 없고 상법에 따른 계약의 자유를 허용하는 등 자유주의적 정책으로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해왔다. 하지만 새로운 규제안은 이같은 전통과 정책 스탠스와 모순된다"고 지적했다.

QCP캐피털 "ETH 현물 ETF 승인 임박 소식에도 옵션 시장 잠잠"
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거래 업체 QCP캐피털이 공식 X를 통해 "반에크가 이더리움(ETH) 현물 ETF 증권등록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ETH 현물 ETF 승인 임박 신호 소식이 전해졌지만, ETH 옵션 시장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주 금요일 옵션 만기가 다가오면서 옵션 시장은 조용한 가운데 분기 말 대량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다. ETH는 3,200 달러와 2,800 달러에서 지지선이 관측됐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0.50% 내린 3,377.7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메가드롭 악용 297개 계정 차단"
바이낸스가 공식 X를 통해 "메가드롭 이벤트 이후 297개 사용자 계정을 차단했다"고 전했다. 이는 지난 22일 메가드롭 악용 계정 참여를 언급한 뒤 4일 만이다. 바이낸스는 "메가드롭 참여 계정은 총 100만개가 넘었으며, 이 중 리스크 관리 팀이 확인한 악용 계정은 10.2만개였다. 동결·회수된 에어드랍 자금은 실제 참여자에게 환원하기 위한 프로젝트 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해시키글로벌, 출시 2개월만 흑자 전환
홍콩 최대 암호화폐 기업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HashKey Global)이 공식 채널을 통해 플랫폼 출시 2개월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해시키글로벌은 "최근 코인게코 기준 글로벌 상위 10개 거래소에 편입했으며, 2024년 전 세계 규제 준수 암호화폐 거래소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해시키글로벌 플랫폼 내 거래량, 유동성, 자산 퀄리티, 사용자 기반은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전 세계 사용자에게 규정을 준수하는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한 거래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UAE 사용자 현지 거래소 바이낸스FZE로 이전 예고
바이낸스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아랍에미리트(UAE) 규제 준수를 위해 UAE 거주 사용자를 산하 현지 거래소 바이낸스FZE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UAE 거주 사용자는 바이낸스의 KYC 접수 마감일인 12월 15일(현지시간)까지 요청 자료를 제출해 업데이트해야 하며, 이후 UAE 사용자들의 계정은 바이낸스FZE로 옮겨진다. 바이낸스는 앞서 지난 4월 두바이 가상자산 규제 당국(VARA)으로부터 가상자산 사업자(VASP)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비탈릭 "블록체인, 권위주의 및 독재주의 정권 대항 수단"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최근 뱅크리스 팟캐스트에 출연해 "블록체인 기술은 권위주의, 독재주의 정권에 대항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권위주의 정권은 오늘날 인터넷의 데이터 수집 능력을 중앙 기관의 통제력을 강화하는 도구로 악용하고 있다. 암호화, 탈중앙화 플랫폼을 통한 디지털 방어선은 물리적 아날로그 없이도 강력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중앙 통제에 대한 저항성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영지식 증명을 통한 무기명 온라인 투표, 블록체인을 통한 익명 통신 등은 분명 민주화를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BAYC 고래 제프리 황 "BLUR, NFT 불황 감안 파밍 규칙 조정 전망"
마치빅브라더(Machi Big Brother)로 불리는 BAYC 계열 NFT 고래이자 대만 유명 가수인 제프리 황(Jeffrey Huang)이 X를 통해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 공동 설립자 팩맨(pacman)이 현재 NFT 시장 불황을 감안해 시즌4 BLUR 파밍 규칙을 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정 이후 블러는 프로토콜 수익·로열티 수수료에 기반해 거래량 우선 순위를 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코인텔레그래프는 크립토슬램 데이터를 인용해 "2분기 NFT 거래량은 전 분기 대비 45% 감소한 22.4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전한 바 있다.

비트겟, $2,000만 규모 TON 생태계 펀드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겟이 텔레그램 및 디오픈네트워크(TON, 톤)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2,000만 달러 규모 펀드를 출시했다. 펀드는 비트겟 내 유동성 제공과 TON 생태계 프로젝트 개발 등을 지원한다.

알고랜드 재단, 탈중앙화 월렛 통신 솔루션 'LiquidAuth' 출시
레이어1 블록체인 알고랜드(ALGO) 재단이 공식 채널을 통해 블록체인 월렛과 댑(Dapp) 간의 탈중앙화 인증 및 통신 솔루션 '리퀴드오스'(LiquidAuth)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존재하는 중앙집중식 월렛 통신으로 인한 보안 리스크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게 알고랜드 재단의 설명이다. 또 중앙집중식 지갑 통신 제공 업체 '월렛커넥트'(WalletConnect)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업계의 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알고랜드 재단은 "리퀴드오스는 △오픈 소스 제공 △웹2 및 웹3 애플리케이션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독립성 △높은 보안성 △중앙 서버 없이 월렛과 댑 간 메시지 전달 지원 △중앙집중식 검열 저항성 등을 통해 안전하고 탈중앙화된 월렛 통신을 지원한다. 이는 웹2, 웹3 환경 전반에 걸쳐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중앙집중식 시스템에 대한 업계의 의존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美 법무부 "HYDRO 토큰 시세조작 혐의 하이드로젠 임원 2명 징역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DOJ)가 HYDRO 토큰 가격을 조작한 혐의로 하이드로젠 테크놀로지(Hydrogen Technology) 임원 2명에 징역형이 선고됐다고 밝혔다. 이 2명은 2018년 10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워시 트레이딩, 스푸핑 등 수법을 통해 HYDRO를 가격을 끌어올린 뒤 매도해 200만 달러를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이번 사건에서 연방 형사 재판 배심원단은 처음으로 암호화폐가 증권이며, 암호화폐 가격 조작은 증권 사기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고 전했다.

비트스탬프, 테더 EURT 등 규제 미준수 스테이블코인 상장 폐지 예고
DL뉴스에 따르면, 주식 및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에 인수된 유럽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Bitstamp)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30일(현지시간) 이전까지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를 준수하지 않는 테더의 EURT 등 스테이블코인을 상장폐지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유로화로 표시되지 않는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 및 토큰은 일부 제품에서 사용이 제한되지만 당장 상장이 폐지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앞서 지난 4월 테더 측은 "미카법의 복잡성에 대한 해석 작업을 진행 중이며, 미카법 시행이 미칠 영향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30일부터 시행될 미카법은 법정화폐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에 투자자 보호 조치 의무를 지우는 동시에 준비금 관련 보다 엄격한 규제를 적용할 전망이다.

애널리스트 "BTC, 반감기 이후 박스권 횡보 정상 범주"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47.8만 명의 X(구 트위터) 팔로워를 보유한 익명의 암호화폐 트레이더 렉트캐피털(Rekt Capital)이 "비트스탬프 BTC/USD 주봉 차트 기준 과거 패턴을 봐도 반감기 도래 이후 박스권 횡보가 이어지는 것은 정상적인 움직임"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반감기 직후 비트코인은 언제나 '재축적' 단계를 거치며 박스권 횡보 움직임을 가져갔다. 이번에도 비트코인은 재축적을 위한 박스권에서 지속적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박스권의 상단 저항선은 71,500 달러, 하단 지지선은 60,600 달러다. 이번 사이클에서 BTC는 반감기 도래 전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템포가 빨라졌지만, 반감기 적용 이후 속도를 늦추며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 오히려 강세장 가능성은 높아졌으며, 이전 사이클보다 긴 강세장이 전망된다. 다만 이를 위해서 BTC는 박스권 하단 지지선을 지켜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리플 CEO "암호화폐 사기 많다는 겐슬러 말은 어불성설"
리플(XRP) 최고경영자(CEO) 브래드 갈링하우스가 X를 통해 "암호화폐 산업에 사기가 많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게리 겐슬러의 말은 어불성설(Absolute nonsense)"라고 전했다. 그는 "겐슬러는 FTX를 완전히 놓쳤고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설립자의 사기를 방치했으며, 바이낸스와 미국 법무부 간 합의 자리에는 초대받지도 못했다. 그가 정말로 미국 국민을 위해 일했다면 오래 전에 해고됐어야 했다. 겐슬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재선 실패에 일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게리 겐슬러는 파이낸셜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산업에는 사기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메이저 암호화폐 마켓메이커 GSR, 공동 CEO 체제 전환
블룸버그에 따르면, 암호화폐 업계 내 최대 마켓메이커 중 한 곳인 GSR마켓(이하 GSR)이 최근 리치 로젠블럼(Rich Rosenblum), 신 쑹(Xin Song)을 공동 최고경영자(CEO)로 선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야콤 팜스타이어나(Jakob Palmstierna) 전 CEO는 사장(president) 직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GSR 신임 공동 CEO 중 한 명인 로젠블럼은 "신 쑹과 공동 CEO 체제를 유지하면서 전 세계 각기 다른 시간대의 고객에게 24/7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가 깨어 있을 때는 GSR의 CEO이자 COO 역할을, 그리고 내가 잠들어 있을 때는 신 쑹이 CEO이자 COO 역할을 맡을 수 있다. GSR은 2013년 설립 이해 꾸준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며, 현재까지 외부 자본을 조달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홍콩통화금융연구소 "디파이 잠재력 무시할 수 없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홍콩 정부 산하 금융 전문 연구기관 홍콩통화금융연구소(HKIMR)이 25일 발간한 '탈중앙화 금융: 현주소 및 규제 개발' 보고서를 통해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산업이 보여주는 수치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2021년 디파이 생태계 시가총액은 60억 달러 규모에서, 2023년 80억 달러 이상으로 급증했다. 이 수치는 디파이의 잠재력을 무시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디파이는 유동성 스테이킹, 플래시 론, 자동화 마켓 메이킹 등 기술을 통해 새로운 금융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는 금융 시스템의 거래 속도를 단축하고 금융 포용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보고서는 "디파이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 파이의 4%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직 미개척 시장으로 남아있다. 조사에 참여한 암호화폐 기업 중 70% 이상은 아직 디파이 기술을 도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버넌스, 규제, 보안 취약점 등 문제는 개선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매트릭스포트 "BTC, 과매도 구간 위치...작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RSI"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 매트릭스포트가 공식 X를 통해 "비트코인은 현재 과매도 구간에 위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매트릭스포트는 "현재 BTC의 21일 평균 상대강도지수(RSI)는 지난해 8월 중국 부동산 침체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당시 BTC는 25,000 달러에 거래됐다. 역사적으로 과매도 구간까지 떨어진 후 비트코인은 일정 수준의 반등이 뒤따르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익명 고래, 위키리크스 창업자에 8 BTC 기부... 호주행 전세기 비용 충당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알타나 디지털 커런시 펀드(Altana Digital Currency Fund) CIO 알리스테어 밀른(Alistair Milne)이 X를 통해 "약 10시간 전 익명의 BTC 고래가 줄리안 어산지 위키리크스 창업자에 8 BTC(약 50만 달러)를 기부했다. 이외에도 어산지는 300,000 파운드 상당의 법정화폐를 기부 받았다. 이를 통해 그는 호주로 향하는 전세기 비용을 모두 충당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어산지의 아내는 전세기 비용으로 지불해야 할 52만 달러 상당의 부채 상환이 필요하다며 기부금 모금을 요청한 바 있다. 어산지는 최근 미국 당국과 탄원 협상에 동의해 영국 런던에서 5년 간 복역한 뒤 석방됐다.

분석 "BTC, 6월 월봉 $56,500 상방 마감 해야 상승 추세 유지"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머티어리얼인디케이터(Material Indicators) 공동 설립자 키스 앨런(Keith Alan)이 X를 통해 "비트코인의 6월 월봉 마감 핵심 가격대는 56,500달러다. 만약 56,500 달러 이하로 6월을 마감하면, 상승 추세가 꺾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코인스탯 CEO "최근 보안 이슈, AWS 인프라 해킹이 원인"
암호화폐 포트폴리오 관리 플랫폼 코인스탯(Coinstats) CEO 나렉(narek)이 X를 통해 "24일 발생한 보안 이슈의 원인은 AWS 인프라 해킹으로 추정된다. 직원 중 한 명이 업무용 컴퓨터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해킹 피해자들에 대해서는 확실한 지원을 약속하며, 자세한 정보는 추후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24일 코인스탯 보안 이슈로 일부 사용자들에 피싱 알림이 전송됐으며, 이로 인해 자산 탈취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홍콩 BTC·ETH 현물 ETF, 오늘 거래량 33억원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26일 기준 홍콩 6종 BTC 및 ETH 현물 ETF 거래량이 약 1871만 홍콩달러(약 33억원)로 집계됐다. 차이나애셋매니지먼트 비트코인 ETF(티커: 3042.HK)의 거래량(804만 홍콩 달러)이 가장 많았다.

2분기 NFT 거래량 급감... 전 분기 比 45% ↓
코인텔레그래프가 크립토슬램 데이터를 인용, "2분기 NFT 거래량이 크게 감소했다"고 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기준 2분기 NFT 거래량은 22억 4000만 달러로, 전 분기(41억 달러)에 비해 45% 줄었다. 이는 지난해 3분기 이후 가장 적은 규모기도 하다. 이에 대해 미디어는 "BTC 약세가 NFT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이달 NFT 거래 건수는 2021년 3월 이후 가장 적었다"고 분석했다.

분석 "BTC 선물 펀딩 비율 0... 바닥 근접 신호 "
크립토퀀트 기고자 구스타보 파리아(Gustavo Faria)가 "비트코인 하락으로 미결제 약정 규모가 지난 3주간 30억 달러 감소했다. 펀딩 비율 또한 0으로 수렴했다. 이는 비트코인 가격이 바닥에 가까워졌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비트코인 가격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인 미국 거시경제 데이터 및 통화 정책 불확실성이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 구조 특성상 비트코인이 바닥에 근접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美 배심원단, 주거침입해 암호화폐 갈취한 남성에 유죄 평결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 연방 배심원단은 암호화폐를 훔치려는 목적으로 여러 차례 집단 주거침입을 주도한 레미 세인트 펠릭스에게 유죄 평결을 내렸다. 펠릭스가 이끄는 조직은 지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7월까지 노스캐롤라이나, 플로리다, 텍사스, 뉴욕 등 여러 주에 걸쳐 주거침입을 감행, 피해자들을 협박해 암호화폐를 갈취한 혐의를 받는다.

분석업체 "밈코인 DORAE 러그풀 정황...개발자 소행인듯"
블록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Lookonchain)이 X를 통해 밈코인 도라에몽(DORAE)에서 러그풀 정황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누군가 145만 달러 상당의 DORAE를 매도하면서 가격이 99% 이상 하락했다.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매도자는 DORAE 개발자일 가능성이 크다. 해당 주소(3TQY로 시작)는 6시간 전 쿠코인 및 또 다른 주소(CEHg로 시작)로부터 304 SOL을 받아 250만 DORAE를 매수했다. 이후 1시간 전 전량 매도해 141만 달러를 챙겼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6월 USDT 공급량 증가세 둔화...암호화폐 시장 유동성 축소"
코인텔레그래프가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퍼(Copper) 보고서를 인용해 “6월 24일 기준 테더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의 월간 공급량 증가율이 1.5% 미만에 그쳤다. 이는 4월, 5월 5% 이상을 크게 하회하는 수치다. 이와 관련 코퍼 리서치 책임자 파디 알부알파(Fadi Aboualfa)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하락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암호화폐 시장으로의 유동성 유입이 축소하고 있다. 알트코인 시장 또한 큰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영향으로 USDT 거래량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3월 11일 7,672억 달러에서 6월 24일 535억 달러로 금감했다"고 설명했다.

美 디지털자산 4개 단체, 정책 제안 위한 운영위 구성
PR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율규제 협회인 글로벌 디지털자산 및 암호화폐 협회(DCA)가 관련 단체들과 함께 미국 디지털 자산에 대한 공시 지침 마련을 제안하기 위한 운영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참여 단체는 글로벌 블록체인 비즈니스 협의회(GBBC), 디지털 상공회의소, 프루프 스테이크 얼라이언스(POSA) 등이다. 운영위는 다니엘 데이비스(Daniel Davis) 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법무자문위원 등 11명으로 구성됐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크라켄 창립자 제시 파월, 도널드 트럼프에 100만 달러 기부

이더리움, 스팟 ETF 유입에 힘입어 올해 말까지 6,500달러 도달 예상

댓글

6

추천

1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HelloXDC

01:43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 [6]
댓글보기
  • HelloXDC
  • 2024.06.30 01:44:08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 0
  • ·
  • 0
  • HelloXDC
  • 2024.06.30 01:44:07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 0
  • ·
  • 0
  • 사계절
  • 2024.06.27 20:33:12
기사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 0
  • ·
  • 0
  • update
  • 2024.06.27 10:57:22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 0
  • ·
  • 0
  • 남이대장군
  • 2024.06.27 10:10:35
파이팅
답글 달기
  • 0
  • ·
  • 0
  • 디스나
  • 2024.06.27 09:27:12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
  • 0
  • ·
  • 0
1 

선물이 도착했어요!

선물이 도착했어요!

선물이 도착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