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22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에서 "성장하는 아프리카 암호화폐 시장에 더 나은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IMF는 암호화폐가 가진 위험성을 언급하며 적절한 규제를 시행해야 할 시기에 와있다고 강조했다.
IMF는 "변동성이 큰 탈중앙 시스템을 규제하는 것은 리스크 최소화와 혁신 최대화 사이에 균형을 잡아야 하는 어려운 과제"라면서도 "시장 급락을 촉발한 세계 3위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붕괴는 더욱 강력한 소비자 보호와 암호화폐 산업 규제에 대한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줬다"고 말했다.
국제 기구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 25% 만이 정식으로 암호화폐를 규제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 중 3분의 2는 부분적인 제한을 두고 있으며, 카메룬, 에디오피아, 레소토, 시에라리온,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6개 국가는 암호화폐를 전면 금지했다.
짐바브웨는 현지 은행에 관련 거래 처리 중단을 지시했고, 라이베리아는 현지 암호화폐 스타트업 운영을 암묵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 정책입안자들은 암호화폐를 통한 불법 자금 유출 및 제재 조치 우회 등을 우려하고 있다. 암호화폐 사용이 더 증가하면 통화 정책 효과를 약화시키거나 금융 및 거시경제 안정성까지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블록체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암호화폐 시장은 아직 규모가 작지만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21년 중반기 월간 암호화폐 거래량은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용자 수는 케냐,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가장 많았다. IMF는 "해당 지역에서 다수가 암호화폐를 상업적 결제에 이용하고 있지만,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가치 저장 수단으로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국제 기구는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채택할 경우 이같은 위험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면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사례를 언급했다. 중아공은 아프리카 국가 최초, 세계에서는 두 번째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했다.
이에 대해 IMF는 "정부가 암호화폐를 보유하거나 지급 결제 수단으로 받아들이면 공공 재정이 위험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