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사설] ETF는 규제인가 해방인가 – 가두리 속의 비트코인

3
5

비트코인 ETF는 제도권 진입이라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그 본질적 자유를 제약할 수 있는 새로운 가두리가 될 수 있다.

비트코인이 제도권의 문턱을 넘고 있다. 미국에 이어 홍콩과 일본이 비트코인 현물 ETF(상장지수펀드)를 승인하거나 검토 중이며, 한국도 이를 주의 깊게 살피고 있다. 한국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는 2025년 하반기 중 암호화폐 ETF 도입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에 대한 기존의 보수적인 입장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ETF는 투자자에게는 접근성과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비트코인의 본질인 탈중앙성과 검열 저항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운용사와 금융당국의 관리 아래 놓인 ETF는 비트코인을 전통 금융 시스템의 틀 안에 가두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비트코인이 지닌 자유로운 거래와 분산된 네트워크의 특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한국의 경우, 암호화폐 ETF 도입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금융위원회는 일본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국내 자산운용사들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일정이나 세부 계획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비트코인은 중앙기관의 통제를 받지 않는 화폐로서,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누구도 중단시킬 수 없는 시스템이다. ETF를 통한 제도권 편입이 비트코인의 가격을 상승시킬 수는 있지만, 그 본질적인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 우리는 지금, 비트코인의 본질과 시장 간 균형을 재설계하는 중요한 분기점에 서 있다.

디지털 자산 시대에 제도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그러나 그것이 곧 진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ETF는 비트코인의 문을 제도권 안으로 열었지만, 동시에 그 자유를 틀 안에 가두고 있다. 한국이 준비 중인 ETF 역시 그러하다. 우리 금융 당국과 시장은 이 흐름을 단순히 수익의 기회로만 보아선 안 된다. 중요한 것은, 어떤 금융 시스템을 우리가 선택하고 유지해갈 것인가 하는 보다 본질적인 물음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3

추천

5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달돌달돌

2025.04.20 10:40:4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4.18 08:00:0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4.17 21:35:23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