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 SEC, 테더(USDT)·USDC '증권 아냐' 공식 선언… 스테이블코인 규제 대전환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2025.04.05 (토) 06:43

4
3

美 SEC가 테더와 USDC 등 카바드 스테이블코인을 증권으로 간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발행사는 SEC 등록 없이 운영 가능해져 규제 명확성이 크게 제고됐다.

美 SEC, 테더(USDT)·USDC '증권 아냐' 공식 선언… 스테이블코인 규제 대전환 / TokenPost Ai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중 ‘카바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증권으로 간주하지 않겠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이에 따라 USDC, USDT처럼 실물 자산으로 1:1 매칭돼 발행되고 언제든 상환 가능한 구조의 코인에 대해서는 SEC 등록 요건이 면제된다.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걸쳐 스테이블코인 규제 명확성을 높이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SEC는 이번 발표에서 ‘카바드 스테이블코인’을 가치안정성을 갖춘 디지털자산이라고 정의했다. 이들은 법정화폐, 특히 달러 기반의 유동성 높은 자산으로 100% 이상 담보되며 발행자가 상환 요청에 즉시 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어, 투자 성격보다는 결제와 송금, 가치 저장 수단으로 설계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스테이블코인은 보유자에게 배당, 수익, 금전적 리턴을 제공하지 않으며, 발행자나 제3자의 재정 성과에 따른 이익이나 손실도 연계되지 않는다.

이번 해석에 따라, 테더(USDT)와 서클이 발행하는 USDC 등은 1933년 증권법과 1934년 증권거래법의 적용 대상인 ‘증권 발행·판매’ 범주에서 제외된다. 이에 따라 기본적인 민팅(발행)이나 리딤(상환)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참여하는 당사자들은 별도로 SEC에 등록할 필요가 없다. SEC는 아울러, 이들 코인의 시장 가격이 상환가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날 수는 있지만, 발행자의 무제한 발행·상환 구조와 재정 중개자들의 재정거래(아비트라지)를 통해 시장 가격은 자연스럽게 본래 가치에 수렴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같은 규정은 이자 지급이나 투자 수익을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에는 당연히 해당되지 않는다. 앞서, SEC는 지난 2월 수익성 기반 구조를 가진 스테이블코인 일부를 증권으로 인정한 바 있어, 이번 발표는 스테이블코인의 경제적 성격에 따라 규제 범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명확히 했다.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출범 이후 규제 명확성 제고와 산업 확대를 노리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이번 결정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물론, 탈중앙화 금융(DeFi)과 온체인 결제를 기반으로 하는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 신호를 준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4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3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달돌달돌

11:03

등급 아이콘

디스나

10:59

등급 아이콘

WayneKIM

09:39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달돌달돌

2025.04.05 11:03:4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4.05 10:59:1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5.04.05 09:04:3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5.04.05 09:04:35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