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자가 1,600만 명을 돌파하며 시장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투자자 유입이 급증한 가운데, 업계는 연말까지 총 이용자가 2,0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3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재건한국당 소속 차규근 의원실이 확보한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통계 자료에서 중복 계정을 제외하고 총 1,600만 명 이상이 거래소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인구(5,170만 명)의 30%를 넘는 수치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암호화폐 시장이 이미 포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보지만, 주식시장과 비교해 여전히 확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불과 몇 달 사이에 신규 가입자 수는 60만 명 이상 증가했으며, 이들이 보유한 가상자산 규모는 총 102조6천억 원(약 703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같은 시기 한국예탁결제원이 발표한 국내 주식 개인투자자 수(1,410만 명)와 비슷하거나 앞서는 수치다. 암호화폐가 더 이상 소수의 투자 수단이 아닌, 대중적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공직자 사이에서도 암호화폐 투자 열풍은 확산되고 있다. 지난 27일 대한민국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2,047명 중 411명(약 20%)이 총 144억 원(약 980만 달러) 규모의 가상자산을 보유 중으로 나타났다. 이 중 최다 보유자는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으로, 약 12억 원(820,000달러)의 자산을 신고했다.
한편, 정부의 사각지대에 있던 불법 플랫폼에 대한 정비도 본격화되고 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은 지난 26일 기준으로 총 22개의 미등록 암호화폐 플랫폼을 추가 식별해 그중 17건을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차단했다.
국내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시장 친화적인 정책 기조와 맞물려 제도 정비와 수요 확대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업계는 이를 계기로 올해 말까지 2,000만 이용자 시대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