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SEC "특정 유형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증권 아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지침을 발표, 특정 유형의 달러 연동 토큰은 위원회의 관점에서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규제기관은 "1대1 기준으로 USD로 환매할 수 있고 저위험(low-risk)으로 간주되며 유통 중인 스테이블코인의 가치와 동일한 혹은 그 이상의 USD를 준비금으로 보유한 스테이블코인이 이러한 범위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디크립트는 "SEC가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수익 창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증권 여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DWF랩스, WLFI로 $2500만 USDC 이체
온체인렌즈에 따르면 DWF랩스가 방금 전 트럼프 일가가 주도하는 디파이 프로토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로 2,500만 달러 상당의 USDC를 이체했다.
백트, 특정 정보 미공개 등 혐의 집단소송 휘말려
세계 최대 증권거래소그룹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 산하 암호화폐 거래 및 커스터디 플랫폼 백트(Bakkt)가 특정 정보 미공개 등 혐의로 집단소송에 휘말렸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뉴욕 남부 지방법원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백트 투자자그룹은 증권법 위반과 백트 주요 고객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위불(Webull) 비즈니스 계약 관련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손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뱅크오브아메리카 및 위불이 백트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만큼, 계약 갱신 불발로 인해 최대 수익 대비 약 73%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코인베이스 주가, 7개월 래 최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로 미국 주식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코인베이스(COIN) 주가가 2024년 9월 이후 최저를 기록하고 있다. COIN은 현재 6.58% 내린 159.5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52주 최고가인 349.75 달러 대비 54% 낮은 수준이다.
폴리마켓서 '서클 올해 IPO' 확률 96%→25% 하락
탈중앙화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Polymarket) 사용자들이 서클의 연내 기업공개(IPO) 가능성을 25%로 내다봤다. 서클이 신청서를 제출한 이번주 초 폴리마켓 트레이더들은 올해 IPO 확률을 96%로 점쳤으나,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해 25%까지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서클이 IPO를 연기했다는 보도가 확산된 바 있다. 관련 서클 측의 공식 발표는 없다.
외신 "서클, IPO 프로세스 연기 예정"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이 기업공개(IPO) 프로세스를 연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폴디드가 X를 통해 전했다. 서클은 JP모건, 씨티은행과 함께 IPO를 추진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IPO를 위한 신청서(S-1)를 제출했다.
3월 NFT 판매량 12% 감소... 이더리움 기반 NFT 약 60% ↓
바이낸스 리서치 데이터에 따르면 3월 NFT 판매량이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이더리움 기반 NFT의 경우 판매량이 59.3% 감소했다. 상위 20개 컬렉션 중 크립토펑크(CryptoPunks)만이 성장세를 보였으며, BAYC(Bored Ape Yacht Club) 및 퍼지펭귄(Pudgy Penguins)은 50% 이상 하락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 비인크립토는 "NFT 토큰 및 이더리움 거래 수수료 수익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네트워크와 시장 활동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익명 고래, $732만 ETH 매입
룩온체인에 따르면 익명 고래가 1,785 달러 가격에 4,100 ETH를 추가 매입했다. 이는 약 732만 달러 규모다. 해당 주소는 지난 3월 26일(현지시간) 이후 33,441 ETH를 매수했으며 평균 매수가는 1,959 달러다. 총 6550만 달러 규모다.
암호화폐-법정화폐 앱 P2P.me, $200만 투자 유치
암호화폐-법정화폐 애플리케이션 P2P.me이 멀티코인 캐피털 및 코인베이스 벤처스로부터 200만 달러 상당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아이겐레이어, 4/17 슬래싱 기능 도입 예정
이더리움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아이겐레이어(EigenLayer)가 오는 17일(현지시간)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은 운영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슬래싱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해당 기능은 아이겐레이어 시스템의 핵심 부분으로, 보안 및 책임을 강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취임 후 미 증시 시총 $9.6조 증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증시 시총이 9조6000억달러(1경4022조원) 증발했다고 암호화폐 뉴스레터 웨일와이어 소속 애널리스트 제이콥 킹이 전했다. 이는 새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가파른 증시 하락폭이다.
미 증시 3대 지수 하락 마감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다.
S&P500: -5.98%
나스닥: -5.82%
다우: -5.50%
미 나스닥 지수 장중 5%대 하락
미국 증시 나스닥 지수의 장중 하락폭이 5.14%까지 확대됐다. 현재 S&P 500지수는 5.09%, 다우 지수는 4.51%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모건스탠리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 60%"
외신에 따르면 모건스탠리가 미국 경제 침체가 발생할 확률은 현재 60%라고 예측했다.
칼시 트레이더, 미국 경기침체 확률 62%
암호화폐 기반 예측마켓 칼시 사용자들은 올해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을 62%로 점치고 있다. 이는 수개월 내 최고 수준이다.
파월 "인플레이션 상승하겠지만 통화정책 방향성 분명하지 않아... 기다릴 것"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이 연설을 통해 "인플레이션은 상승할 것이고, 성장은 둔화될 것이다. 그러나 통화정책의 방향성은 분명하지 않다. 지금 당장 서두를 필요 없다. 우리에게는 시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에게는 독립성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무역정책, 에너지정책, 기후변화, 이민 문제는 연준의 책임이 아니다. 우리는 우리의 임무에 집중해야 한다. 우리의 임무는 무슨 일이 일어나더라도 경제를 안정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월 "연준, 실업률·인플레 상승 위험에 직면... 한발 물러나 기다릴 때"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이 연설을 통해 "연준은 실업률 및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위험에 직면해 있다. 상황이 좀 어렵다. 다만 우리는 두가지 임무(최대 고용, 물가 안정)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지 않다. 1970년대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1년 정도 지나면 트럼프 정책이 미치는 영향이 더욱 명확해지면서 불확실성이 훨씬 낮아질 것이다. 현재는 불확실한 상태로, 어떤 정책을 채택해야 할지 확실하게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지금은 한발 물러서 상황을 정리하기 좋은 때"라고 말했다.
파월 "연준 자체 경기침체 가능성 예측 안해... 외부 높게 전망"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이 연설을 통해 "연준은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확률적 예측을 하지 않지만, 외부 예측가들은 그 가능성은 높게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가 거의 모든 전문자의 예상치보다 높게 발표됐다. 그러나 관세가 어디에 적용될지, 실제로 적용될지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다"며 "불확실성이 높고 하방 리스크가 커졌으나, 미국 경제는 여전히 양호하다. 장기적 인플레이션 데이터 및 지표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덧붙였다.
파월 "적절한 통화정책 말하기엔 너무 이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이 연설을 통해 "통화정책의 적절한 경로가 무엇인지 말하기에는 아직 너무 이르다. 연준은 기다릴 준비가 돼 있다"며 "관세가 경제게 미칠 영향이 예상보다 더 클 수 있다. 가격 상승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美 연준 이사 "연준의 디지털통화 채택, 지지하지 않아"
외신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가 "나는 연준의 본격적인 디지털통화 도입을 전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 현실세계에서는 그에 대한 수요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연준의 디지털달러 추진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 재무장관 "BTC, 가치저장 수단 되고 있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비트코인이 가치저장 수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워처구루 X 계정이 전했다.
트럼프 "지금이 금리 인하할 최적의 시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금이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이 금리를 인하할 최적의 시점"이라고 말했다.
펌프닷펀 "라이브스트리밍 서비스 재개... 검열정책 구축"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홈페이지를 통해 "일시적인 운영 중단 후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가 재개됐다"며 "업계 표준의 검열 정책(Moderation Policy)과 투명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5%의 사용자에게만 공개한다"고 전했다. 검열 정책은 향후 커뮤니티, 검토자, 정책 전문가 및 기타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BTC $84,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84,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84,016.9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83,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83,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83,035.7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