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와 규제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을까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3.29 (토) 00:05

3
3

블록체인 기술의 실용화를 가로막는 개인정보 보호와 메타데이터 노출 문제 해결책으로 선택적 공개와 이중자산 모델이 제시됐다. ZK 기술이 프라이버시 보호와 규제 준수의 균형을 이룰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블록체인, 프라이버시와 규제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을까 / TokenPost AI

블록체인이 등장한 지 16년이 지났지만, 기술의 진정한 사업적 잠재력은 여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공공 블록체인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기업은 민감한 데이터를 비공개로 유지해야 하고, 개인은 프라이버시를 지키기를 원하지만, 한 번 블록체인에 올라간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노출되는 구조다.

특히 메타데이터는 암호화된 데이터 자체보다 더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거래 시점, 빈도, 상대방 정보를 통해 기업의 투자 전략이나 협력 관계 같은 내부 기밀이 외부에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 유지에 중대한 장애가 된다. 블록체인상에서의 정보 노출은 단순한 기술적 결함이 아니라, 기업이 블록체인을 채택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한계를 만든다.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기능의 양면성도 문제다. 지나치게 정보를 감추면 자금세탁이나 불법 행위의 온상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사무라이 월렛이나 토네이도 캐시와 같은 프라이버시 중심 프로젝트는 규제 위반 혐의로 개발자가 기소되거나 긴 형을 선고받은 사례도 있다. 이로 인해 블록체인 프라이버시는 정부와 상충하는 개념이라는 오해가 확산됐다.

하지만 이는 부정확한 관점이다. 정부는 오히려 GDPR 같은 규제를 통해 기업이 개인정보를 보호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핵심은 *데이터 보호*와 *범죄 악용 방지*라는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균형 점을 찾는 데 있다. 선택적 공개와 ZK(영지식증명) 기술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거래에 대한 유효성만 증명하면서도 정보를 공개하지 않을 수 있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새로운 유형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접근만으로는 부족하다. 데이터 외에도 메타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프라이빗 토큰’ 모델은 자금세탁 가능성 때문에 한계가 있고, ‘퍼블릭 토큰’은 필요한 익명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이중 자산 시스템’ 도입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하나는 공개되고 추적 가능한 자산, 다른 하나는 프라이버시 자산으로, 두 기능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 동시에 규제 준수도 가능하게 하는 구조다.

이처럼 선택적 공개와 이중 자산 모델의 결합은 블록체인의 실질적인 활용도를 높이는 열쇠가 될 수 있다. 암호 화폐 산업이 제도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버시와 규제 준수가 양립 가능한 기술 프레임워크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프라이버시 보호는 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웹3의 신뢰성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핵심 인프라가 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3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바다거북이

2025.03.30 11:54: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5.03.29 07:15:1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5.03.29 07:15:17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