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3월부터 캐나다와 멕시코를 포함한 주요 무역 파트너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며, 이에 따른 경제적 여파가 주목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신규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경기 둔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우선, 3월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어서 3월 12일부터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같은 세율이 적용된다. 4월 1일에는 상무부가 무역 보복 조치와 관련된 분석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할 계획이며, 하루 뒤인 4월 2일에는 자동차, 반도체, 제약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가 발표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지지자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정부 세수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다수의 경제학자들은 오히려 소비자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보고서에서 새롭게 시행될 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연말에는 소비자 지출 위축으로 인해 경제 성장률이 급격히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노무라증권 역시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3%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하면서, 연준이 2026년까지 금리 인하를 보류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경제학자들은 관세 부과 대상국들이 미국의 조치에 대응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시장 불확실성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예기치 못한 공급망 차질이 물가를 급등시킨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번 조치도 예상보다 심각한 경제적 충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금융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최종 결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관세 시행이 예정대로 진행될지, 혹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완화될지에 따라 경제 전반의 흐름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향후 미 행정부의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글로벌 무역 환경의 변화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