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Ford)가 전기차(EV) 사업에서 50억 달러(약 7조 2,500억 원) 이상의 손실을 기록한 가운데, 짐 팔리(Jim Farley)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6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팔리 CEO는 이날 열린 컨퍼런스 콜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멕시코, 캐나다,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관세 정책이 선택적이라며 비판했다. 그는 "현대-기아가 미국 시장에 연간 60만 대를 무관세로 수출하고, 도요타가 50만 대를 수입하는 상황에서 특정 국가만을 대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팔리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시장 모두에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동일한 규제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특정 지역을 겨냥한 정책이 아니라 산업 전반에 일관성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포드 대변인은 팔리 CEO 발언과 관련해 "추가 관세 도입을 요구한 것이 아니라, 현재 논의되는 조치가 북미에서 부품이나 차량을 수입하는 일부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라며 "한국, 일본, 독일 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경쟁 환경을 누릴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보호무역 논란은 포드의 전기차 사업이 큰 손실을 기록한 시점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포드는 전기차 부문에서 50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의 판매량이 테슬라(TSLA)의 사이버트럭(Cybertruck)에 밀리는 등 시장 점유율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포드는 저비용 EV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시장 출시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팔리 CEO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25% 관세가 자동차 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소비자 가격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번 관세가 시행될 경우 자동차 업계의 수익 수십억 달러가 증발할 것이며, 미국 내 일자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부가 자동차 산업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정책의 일관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포드는 단기적으로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중간 단계인 '확장형 하이브리드' 모델을 확대하는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전기차보다는 낮은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담이 적다는 점에서 내연기관차 소비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트럼프의 보호무역 기조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경쟁 구도가 흔들릴 가능성이 커졌다. 포드뿐만 아니라 다른 전기차 업체들 역시 규제 변화에 따른 시장 대응 전략을 재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