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RSAC 2025서 시스코(CSCO) 대공개…AI 기반 보안 비전 ‘본격 시동’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시스코(CSCO)가 RSAC 2025에서 AI와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보안 전략과 신제품들을 대거 발표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보안이 시스코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

RSAC 2025서 시스코(CSCO) 대공개…AI 기반 보안 비전 ‘본격 시동’ / TokenPost Ai

보안 업계의 최대 행사인 RSAC 2025가 막을 올리면서 시스코(CSCO)는 모스콘 센터에서 대대적인 신제품 출시를 발표했다. 올해 약 5만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 행사에서 시스코는 AI와 네트워크 강점을 활용한 차세대 보안 전략을 대거 공개하며 주목을 끌었다.

최근 몇 년간 포트폴리오를 급격히 재편해 온 시스코는 이번에도 다양한 신기능들을 선보였다. 대표적으로, XDR(확장 탐지 및 대응) 2.0의 AI 기반 강화, 사이버 비전(Cyber Vision)과 하이브리드 메시 방화벽(Hybrid Mesh Firewall)의 통합, AI 공급망 리스크 관리 솔루션, 그리고 서비스나우와의 새로운 파트너십 등이 포함됐다.

시스코의 제품 담당 최고책임자인 지투 파텔(Jeetu Patel) 주도로 개발된 XDR 2.0은 중소기업 시장에도 고급 위협 탐지 기능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네트워크부터 엔드포인트, 이메일, 웹까지 전방위적인 공격 면을 모니터링하며, AI를 통해 방대한 알림 중 실제 악성 행위를 빠르게 식별 후 대응하는 기능이 강화됐다. 과거에는 사람이 처리할 수 없던 대량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공격 확산을 막고, 자동화된 대응을 가능케 했다.

사이버 비전과 연동된 하이브리드 메시 방화벽은 IoT 및 운영 기술(OT) 환경의 보안을 대폭 강화했다. IoT 자산을 식별하고 취약점을 점검한 후, 이들 기기를 그룹화해 방화벽 정책을 자동 적용하는 방식이다. 시스코의 보안 클라우드 컨트롤(Security Cloud Contro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정책 수립부터 여러 네트워크 계층에 걸친 일괄 배포가 가능해 관리 복잡성을 크게 줄였다.

AI 공급망 리스크 관리 부문에서도 시스코는 한발 앞서 나갔다. 챗GPT, 허깅페이스와 같은 오픈 소스 모델 사용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새로운 보안 위협을 겨냥해, AI 개발 전 과정에 걸친 가시성과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악성 모델 감염이나 개발자 엔드포인트 위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시스코는 서비스나우와 협력해 AI 리스크 및 거버넌스 솔루션을 통합한 제품을 함께 출시할 예정이다. 양사의 공동 고객들은 애플리케이션, AI 모델, 그리고 잠재적 보안 취약점에 대해 통합 가시성과 실시간 방어 기능을 누리게 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시스코 발표가 보안 시장에서의 영향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포석이라고 평가했다. 보안이 시스코의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네트워크 인프라 시장에서 지배적 점유율을 가진 시스코는 이 점을 활용해 보안 제품 간 연결성과 통합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과거 개별 제품군 간 연계 부족으로 고객 불편을 초래했던 시스코는, 이번 RSAC 2025를 기점으로 AI 기반 통합 보안 비전을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보안, 네트워크, 인프라 간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AI 시대를 준비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