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융합인재 양성에 110억원 지원

작성자 이미지
김예림 기자

2022.05.25 (수) 12:00

0
0

올해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지원사업에 KAIST·서강대 선정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로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가상 융합 세계 '메타버스' 서비스를 선도할 최고급 연구개발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신설한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지원사업’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강대학교를 최종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지원사업은 대학별로 최대 6년간 55억을 지원한다. 총 6개 대학이 사업을 신청했으며 과기정통부가 각 대학의 사업 추진계획을 평가해 두 개 대학을 선발했다. 선발된 대학은 오는 2학기부터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을 설립·운영할 예정이다.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은 확장현실(XR)·빅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블록체인 등 메타버스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요소기술과 미디어·스토리텔링 등 인문사회 분야를 융합한 전공과목 및 다학제 교과목을 운영한다. 또 관련 기업들과 산학협력체계를 구성하여 메타버스 산업의 현안을 해결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KAIST는 '포스트 메타버스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협력기업이 산학협력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메타버스 융합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했다. 또 협력기업과 산학 장학생, 인턴십 등의 인력교류를 통해 학생들에게 고급기술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서강대학교는 매년 입학정원 60명을 확보하고, 학기 단위가 아닌 1년 단위로 일련의 교과목을 연결하여 듣는 ‘프로젝트 학습-인턴십-프로젝트 학습(PIP)’ 교육을 통해 실전에서 요구되는 통합적 전문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두 대학은 인문·기술적 이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서비스 기획부터 개발, 사업화까지의 전 단계를 이해하고 핵심기술을 개발, 응용, 고도화하여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융합형 고급인재를 양성한다. 2027년까지 110명 이상의 석·박사를 배출하는 것과 330명의 고급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각각 목표로 세웠다.

허원석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및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메타버스 혁신기술을 선도할 글로벌 수준의 융합인재 양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지속해서 사업을 확대하여 메타버스 시장의 급성장에 따른 고급인재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