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테이블코인 투자자 10명 중 4명은 달러 자산 확보를 위해 스테이블코인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투자 외에도 예금, 송금, 재정거래 등 활용 목적이 다양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의 싱크탱크 해시드오픈리서치(HOR)는 8일 ‘한국의 스테이블코인 투자자, 그들은 누구인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국내 조사로는 처음으로 스테이블코인 보유자 300명의 투자 목적과 활용 현황을 분석했다.
응답자의 60.7%는 스테이블코인을 해외 가상자산 거래에 사용한다고 답했다. 투자가 아닌 목적도 많았다. 전체의 37.7%는 달러 자산 확보, 29.7%는 재정거래, 24.3%는 예치 이자 획득 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사용 중이라고 응답했다. 또 15.3%는 사업용 송금, 13.7%는 개인용 송금 수단으로 쓴다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은 소규모 무역 같은 분야에서도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다. 일부 개인사업자들은 해외 거래 대금을 스테이블코인으로 정산하고 있다. 해외 거래소에 달러를 예치해 연 4%대 이자를 받는 경우도 있었고, 국내외 거래소 간 시세차를 이용한 재정거래에 활용하는 사례도 많았다.
투자 규모도 제한적이지 않았다. 응답자 중 61%는 1천만 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했다. 5천만 원 이상이라는 이들도 32%였다. 일반 가상자산 투자자보다 2~4배가량 많은 수치다.
스테이블코인 투자자는 20~30대 남성 중심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98%가 남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38세였다. 가장 많은 연령대는 29세였다.
해시드오픈리서치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이 단순한 투자 수단을 넘어 확장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법정 화폐와 함께 지급 수단으로 쓰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관계자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거래소를 통한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은 약 60조 원으로 집계됐다. 설문조사는 오픈서베이 패널을 대상으로 모바일을 통해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5.66%포인트, 신뢰수준은 95%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