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저녁 뉴스브리핑] DWF랩스, 2.5억 WLFI 토큰 고가에 대량 매수 外

작성자 이미지
강수빈 기자
1
3

DWF랩스가 WLFI 토큰 2.5억 개를 개당 0.1달러에 매수해 첫 토큰세일 가격의 6.67배에 달하는 프리미엄을 지불했다. 이는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평가로 풀이된다.

DWF랩스, 2.5억 WLFI 토큰 고가에 대량 매수 / Tokenpost

DWF랩스, 2.5억 WLFI 매수

DWF랩스가 2.5억 WLFI를 개당 0.1 달러에 매수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이는 WLFI 첫 토큰세일 가격(0.015 달러)의 6.67배, 2차 세일 가격(0.05 달러)의 2배에 해당한다.

분석 "BTC 미 증시 따라 하락 후 빠른 반등 가능성"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지난 2020년과 매우 비슷하며, 비트코인이 미국 증시를 따라 하락했다가 빠르게 반등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쉐어스 애널리스트 크리스토버 벤딕센(Christopher Bendiksen)은 "비트코인은 유동성이 큰 자산이기 때문에 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초기에는 더 휘청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상황이 안정되면 빠르게 안정화된다. 과거에도 이런 현상이 수차례 관찰됐는데, 코로나19 사태만큼 두드러졌던 적이 없다. 비트코인은 당시 50% 이상 하락했으나 단 몇 주 만에 이를 모두 회복했다. 이후 각국 중앙은행이 화폐를 대량으로 찍어내면서 강세장이 시작됐고 비트코인은 2021년 신고가를 세웠다. 만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도한 대로 흘러간다면, 그의 재정 완화 정책이 본격적인 강세장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지난 2022년 연준의 피벗(기조전환) 이후 비트코인은 글로벌 M2(광의 통화량) 움직임을 약 90일 후행해서 따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만약 이 현상이 반복된다고 가정하면 폭발적인 반등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만약 저금리와 양적완화라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암호화폐 강세장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 아닐 수 있다. 반면 내 예상이 틀렸다면, 시장은 이미 약세 반전 국면에 들어왔다고 볼 수 있다. 수요와 가격이 균형을 찾을 때까지 상당한 추가 하락이 있을 수 있고, BTC 가격은 6만 달러 또는 이보다 더 내려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분석 "일주일간 $12억 USDT 거래소 유입...저점매수 노리는듯"

지난 7일 동안 트론(TRX) 네트워크를 통해 총 12억 달러 규모의 USDT가 중앙화 거래소에 유입됐다고 인투더블록이 X를 통해 전했다. 그러면서 "USDT 유입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트레이더들이 저점매수를 노리고 있거나 무기한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정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그너스 사용자 800만 명·TVL $9억 돌파

웹3·인스타그램 앱 레이어 시그너스(Cygnus)가 올해 1분기 TVL(총 락업 예치금)이 9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공식 채널을 통해 밝혔다. 시그너스는 이 기간 1,700만 달러 규모의 수익을 창출하고, 8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유치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100개 이상의 파트너사가 참여 중인데 시그너스 생태계는 최근 시그너스 인스타플레이 허브(InstaPlay Hub)도 출시했다. 이를 통해 크리에이터 경제, 데이터 소유권, AI 통합 등으로 생태계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시그너스 인스타그램 앱 레이어 누적 사용자 수는 730만 명, 일일 활성 사용자 수(DAU)는 100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고, 알파쿼크·W3DB·부스트 합병 거버넌스 제안 통과

아르고(AERGO)가 공식 채널을 통해 알파쿼크(AQT), W3DB, 부스트(Booost)와의 합병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됐다고 발표했다.

분석 "'공포에 매수는 옛말'...심리 아닌 거시경제 우선 살펴야”

암호화폐 시장이 거시경제 변수에 좌우되면서 더는 '공포에 매수하라'는 투자원칙이 통용되지 않는다고 웹3 벤처캐피털인 탄젠트 벤처스 공동설립자인 제이슨 초이(Jason Choi)가 진단했다. 그는 "지난 2022년 내 최대 실수는 성급하게 비트코인을 풀매수한 것이었다. 당시 나는 현금 비중이 95%였는데, 시장 전체가 공포에 빠졌을 때 가격이 바닥이라고 확신하고 매수에 들어갔다. 당시 BTC는 결국 15,000 달러까지 하락했다. 간신히 손실은 피했지만, 상당히 위험한 판단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후 몇 년 동안 경험을 쌓은 결과, 고점은 제법 맞히지만 바닥 예측은 여전히 어렵다. 과거에는 유동성 공급자 한 둘만 보면 시장을 판단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ETF와 거시경제 등 고려해야 할 요인이 매우 다양해졌다. 따라서 전통적 투자원칙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정교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시장을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장기채 금리 급등...30년물 5% 돌파

미국채 30년물 금리가 5.010%를 기록하며 2023년 말 이후 최고 수준에 다다랐다. 10년물 금리는 4.503% 수준이다.

미국채 10년물 금리, 2월 말 이후 최고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411%를 기록하면서 2월 말 이후 최고 수준에 다다랐다. 가장 안전한 투자처로 간주되는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올라가면 위험자산 선호도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미국 상호관세 정책 발효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공식 발효됐다.

[루머] 중국 지도자들, 관세 관련 부양책 논의 예정

CN와이어, MKT뉴스 등은 중국 최고 지도자들이 이르면 수요일(오늘) 회의를 열어 미국 관세 관련 경기 부양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단, 중국 현지 매체에서는 해당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

업비트 BTC 호가창서 460억원대 매수벽 등장 '워뇨띠' 추정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현재 업비트 원화마켓 비트코인(BTC) 단가 1억 1590만원에 460억원대 매수 호가(매수벽)가 형성됐다. 업비트 원화마켓 기준 BTC는 1.3% 오른 1억 1159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편 국내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해당 매수벽을 전설적인 트레이더 '워뇨띠'가 세웠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업비트 원화마켓 ETH 218만원에 600억원 매수 호가 형성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4월 9일 13시 47분경 업비트 원화마켓 이더리움(ETH) 단가 218만원에 600억원 상당 매수 호가가 형성돼 있다. 업비트 원화마켓 기준 ETH는 1.36% 내린 218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ETH, 출시 후 BTC보다 가격 상승률 높았던 건 단 1.5년

이더리움(ETH)이 출시 후 약 1년 반 동안만 비트코인을 능가하는 가격 상승률을 보여줬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글래스노드 수석 분석가 제임스 체크에 따르면 ETH는 2015년 중반부터 2017년 중반까지 BTC의 상승률을 크게 상회했으며, 2019년 말과 2020년 초에도 짧은 기간 BTC 이상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10년 내 약 85% 기간 동안에는 BTC의 상승률이 더 높았다. 한편 ETH/BTC(1 ETH당 BTC 비율)은 9일 5년 만에 최저 수준인 0.019 수준을 기록 중이다.

바이낸스, BABY 상장...호들러 에어드롭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4번째 호들러 에어드롭 프로젝트에 바빌론(BABY)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오는 10일 19시(한국시간)에 BABY가 상장될 예정이다.

바이낸스, ACT 등 7종 현물 거래 페어 상폐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1일 12시(한국시간) ACT/BRL, ALPHA/BTC, BLUR/BTC, CELR/BTC, PENGU/BNB, POND/BTC, RUNE/BNB 등 현물 거래 페어 7종을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비트겟, QKC·PROS 선물 거래페어 상장 폐지

비트겟이 한국시간 기준 4월 15일 16시 선물 거래 및 선물 거래 봇 마켓에서 QKCUSDT, PROSUSDT 등 거래페어를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4월 11일 16시부터 비트겟 선물 마켓 내 QKCUSDT, PROSUSDT의 신규 선물 포지션 오픈이 중단된다. 포지션 보유 사용자는 거래페어 상장 폐지 전 마감해야 한다.

비트겟 온체인, Steve·AGAWA·jockey 상장

비트겟이 공식 채널을 통해 비트겟 온체인에 Steve, AGAWA, jockey 등 밈코인이 상장됐다고 공지했다. 비트겟 온체인은 모바일 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 중앙화 거래소 시스템 내에서 별도의 웹3 지갑 없이 온체인 자산 거래를 지원한다.

업비트, STPT→AWE 리브랜딩 지원...입출금·거래 일시 중단

업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4월 14일 11시 에스티피(STPT)의 리브랜딩에 따라 입출금, 거래 지원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에스티피(STPT)는 에이더블유이(AWE)로 명칭이 변경되며, 심볼도 AWE로 바뀐다. 1 STPT는 1 AWE로 스왑될 예정이다.

해시키글로벌, FHE 현물 상장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이 공식 채널을 통해 마인드네트워크(FHE)를 현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긴자, TGE 예정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긴자 파이낸스(Kinza Finance)가 공식 채널을 통해 TGE(토큰발행이벤트)를 예고했다. 구체적인 일정은 언급되지 않았다.

샤킬 오닐-솔라나 NFT 아스트랄 투자자 분쟁 종결

미국 법원이 미국 프로농구(NBA) 스타 샤킬 오닐과 솔라나(SOL) 기반 NFT 프로젝트 아스트랄(Astrals) 투자자들 간 합의를 승인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뉴욕 하원의원, 선거 시스템 블록체인 적용 법안 발의

뉴욕주 하원의원 클라이드 바넬이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유권자 정보와 선거 결과를 보호할 것을 제안하는 법안 7716을 발의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페이코인, 피자헛 결제 지원

페이코인(PCI)이 공식 채널을 통해 한국 피자헛에서 BTC, ETH, PCI 결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포필러스 “신생 체인, 활동·회복력 측면 낮은 점수”

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포필러스가 최근 '커뮤니티란 도대체 무엇인가? Pt.2: 프로젝트 평가' 보고서를 발표했다.

비트겟, 3,000만 BGB 소각 완료

비트겟이 1분기 30,006,905 BGB를 소각했다고 밝혔다.

[코인니스 오리지널] 갤럭시·그래비티, 종합 웹3 인프라로의 도약

오늘 코인니스 오리지널은 최근 메사리(Messari)가 발간한 보고서를 토대로, 갤럭시와 자체 개발 레이어1 네트워크 그래비티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과 업데이트 현황 등을 톺아본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51% / 숏 50.41%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1억 2926만, 청산 비율: 롱 78.91%

분석 “BTC, 다음 지지선은 $70,000”

아크인베스트 암호화폐 총괄 출신이자 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털 플레이스홀더 매니징 파트너인 크리스 버니스케(Chris Burniske)는 “BTC가 다시 한 번 76,000달러선을 하회할 경우, 다음 주요 지지선은 70,000달러”라고 진단했다.

나스닥 선물 -2.35%

나스닥 선물이 2.35% 내린 16,837.50에 거래되고 있다.

BTC $77,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77,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77,030.9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4.10 14:45:52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