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활용도 끌어올린 코어(Core), 듀얼 스테이킹 자산 2.6억 달러 돌파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3
5

비트코인 기반 블록체인 코어(Core)가 기관 투자자의 참여 속에 듀얼 스테이킹 자산 2억6,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비트고·커퍼 등 수탁업체 연동과 고수익 모델이 자산 운용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 활용도 끌어올린 코어(Core), 듀얼 스테이킹 자산 2.6억 달러 돌파 / TokenPost AI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지분증명(PoS) 블록체인 ‘코어(Core)’가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 속에 듀얼 스테이킹 자산 규모 2억6,000만 달러(약 3,796억 원)를 돌파했다.

코어의 초기 기여자인 리치 라인스(Rich Rines)는 4월 7일 기준, 코어 생태계에 4,400만 개 이상의 코어(CORE) 토큰과 3,140 비트코인(BTC)이 듀얼 스테이킹돼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에 밝혔다. 해당 자산의 현재 가치는 약 2억6,000만 달러에 달한다.

코어의 듀얼 스테이킹 모델은 비트코인을 단독으로 스테이킹할 때보다 코어 토큰을 함께 예치할 경우 훨씬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구조다. 코어 측은 “듀얼 스테이킹을 통해 기본 보상의 최대 15배까지 수익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듀얼 스테이킹 규모가 급증한 데에는 주요 기관 투자자들의 플랫폼 연동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코어재단(Core Foundation)은 현재 비트고(BitGo), 커퍼(Copper), 헥스트러스트(Hex Trust) 등 대표적인 가상자산 수탁업체들이 코어의 듀얼 스테이킹 기능을 통합해 고객들에게 접근성을 열어줬다고 밝혔다.

아울러 구조화 자산 플랫폼 메이플파이낸스(Maple Finance)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듀얼 스테이킹 기반의 수익형 금융상품도 시장에 출시됐다.

라인스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역사적으로 기관들은 비트코인을 단순 보유하면서 수탁 수수료만 부담했지만, 코어의 듀얼 스테이킹 모델은 이를 수익 자산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기관 자산 운용의 효율성과 수익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어는 현재 비트코인 기반 사이드체인 중 총예치자산(TVL) 기준 선두를 달리고 있다. 분석 플랫폼 풋프린트애널리틱스(Footprint Analytics)에 따르면, 코어의 TVL은 4억 달러(약 5,840억 원)를 넘어섰으며,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시장에서 28%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코어팀은 듀얼 스테이킹에 참여 중인 CORE 토큰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해당 모델이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라인스는 “현재까지 4,400만 개 이상의 CORE가 비트코인과 함께 듀얼 스테이킹됐다는 점은 사용자들이 이 모델을 통해 자산을 안전하고 꾸준하게 운용하려는 실질적인 수요가 존재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코어의 모델은 서드파티를 신뢰하지 않고도 비트코인을 생산성 있는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며 “장기 보유자들이 자신의 기존 자산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기존 금융 구조에 의미 있는 변화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3

추천

5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10 09:40:4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4.10 08:30:4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4.10 00:04:1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