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블록체인 산업 관계자, 정부 관계자, 암호학자 등 각계 전문가가 모인 블록체인 육성 정책 토론회가 18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패널 토의에서 서영일 KT블록체인센터장은 여전히 블록체인에 대한 대중의 이해가 많이 뒤쳐져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블록체인을 자꾸만 암호화폐 쪽으로만 한정하는 경향이 있는 데 격분을 느낀다”며 암호화폐 투자에만 관심을 두지 말고 블록체인을 공부해 그 광활한 활용 영역을 탐구해 볼 것을 요청했다. 비트코인 광풍이 인지 1년이 지났지만 블록체인은 여전히 업계 관계자들만 아는 난해한 기술 정도로 아는 사회 분위기를 지적한 것이다.
서 센터장은 또한 영국의 규제 가이드라인, 중국의 스마트 시티 등을 예로 들며 블록체인 산업을 이끌기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기술만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전문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니 고액 연봉을 제시해도 서로 데려가려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전문 인력 양성이 급선무라는 점에는 학계와 정부 관계자도 함께 공감하는 분위기다.
이날 첫 주제 발표 강연자로 나선 김용대 카이스트 교수는 블록체인 인재 양성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한때 빅데이터를 국가 차원에서 육성하려는 붐이 있었지만 결과는 어땠나”라며 “학계에서 블록체인의 뼈대인 프로토콜을 연구하고 그 응용기술은 산업체 주도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어 발표에 나선 오세현 SK텔레콤 전무는 블록체인의 핵심 가치 중에서도 종이 기반의 공문서를 원본 추적 가능한 방식으로 디지털화하는 기술을 특히 강조했다.
오 전무는 부동산 거래를 예로 들며 매도인, 매수인, 부동산중개, 지자체, 이사업체 등을 하나로 연결해 소유권 확인 증명과 계약 정보 공유, 실시간 이사비 견적 제공 등을 단 번에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블록체인의 잠재력 중 금융에 해당하는 부분은 20% 정도라며 지금부터 학계, 정부, 산업체가 협력해 블록체인의 연구, 조사, 적용, 확대에 힘쓸 것을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대부분 블록체인 기술이 인터넷과 같이 단순 과학기술을 넘어 사회적 기술이 될 것이라는 데 입을 모았다. 특히 규제를 아예 배재할 수는 없겠지만 일단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아울러 궁극적으로 한국 블록체인 원천 기술이 글로벌 경제를 이끌 수 있으려면 1세대, 2세대 블록체인을 넘는 3세대 개발을 위한 인력양성, 표준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신예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