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이 최근 파리에서 열린 글로벌 AI 윤리 협약 서명을 거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번 결정은 인공지능(AI) 기술 개발과 안전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국제적인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평가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100개 이상의 국가가 참여해 AI 기술이 투명하고 안전하며 윤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미국과 영국은 각국의 AI 혁신 전략을 보장해야 한다는 이유로 협약 서명을 거부했다. 미국의 JD 밴스 부통령은 "지금 AI 개발을 규제하는 것은 수십 년간 이어질 기술 혁신을 가로막는 일"이라고 주장하며 유럽연합(EU)의 접근법과의 차이를 분명히 했다.
실제로 EU의 'AI법(AI Act)'은 엄격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해 AI 기술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반면, 미국은 보다 자유로운 AI 개발 환경을 선호하며 기업의 혁신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AI 기술의 글로벌 표준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편, 회의에 참여한 60개국은 AI의 책임 있는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협약을 채택했다. 이 협약은 AI 기술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감시하고 공공의 이익을 위한 AI 플랫폼을 구축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AI 분야의 규제 이슈가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주목된다. AI 기술이 점점 중요해지는 가운데 엔비디아(NVDA), 아마존(AMZN), 마이크론(MU), 메타(META), 마이크로소프트(MSFT) 등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미국과 유럽의 AI 정책이 어떻게 조정될지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성장 방향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