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 '암호화자산규제법(MiCA, 미카)'이 전면 시행에 들어가면서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의 시장 위축이 발생했다.
2일(현지시간) 코인데스크는 트레이딩뷰 데이터를 인용, "테더 시가총액은 1372억4000만 달러로, 이번주 1% 이상 감소했다"고 전했다.
이는 2022년 11월 둘째주 FTX 붕괴 이후 2년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이다.
작년 시장 회복과 함께 테더는 성장세를 지속, 지난 12월 중순 시총 1407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미카법을 준수하기 위해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테더 상장폐지를 결정하면서 시총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유럽연합은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다룬 미카 1단계를 6개월 전부터 적용하고 있다.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초점을 맞춘 미카 2단계는 지난 12월 30일 전면 도입을 시작했다.
미카 규정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인 '자산참조토큰(ART)'이나 '전자화폐토큰(EMT)'을 발행·거래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준비금, 유동성 요건을 요구하는 허가를 취득해야 한다.
ART는 '금, 암호화 토큰, 혹은 (하나 이상의 법정화폐를 포함하여) 이 둘을 조합한 자산을 참조하여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암호화 자산'으로 정의된다. ERT는 달러 같은 단일 법정화폐를 참조하는 암호화 자산을 말한다.
테더가 관련 허가를 취득하지 못하면서 유럽연합 거래자는 미카 규제를 적용받는 현지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테더를 거래할 수 없게 됐다.
최대 스테이블코인 테더의 상장폐지와 그에 따른 시장 가치 하락이 발생하면서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 웹3 유동성 레이어 '오덜리 네트워크(Orderly Network)'의 아시아태평양 파트너십 책임자 카렌 탕은 X(트위터)에 "이러한 우려는 근거가 없는 것"이라면서 "부정적인 영향은 유로존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미카 규제로 유럽연합에서 테더 접근이 제한되더라도 테더의 시장 지배력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봤다. 카렌 탕은 "유럽연합은 최대 암호화폐 시장이 아니다"라면서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량은 아시아와 미국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조치가 유럽연합의 디지털 자산 혁신을 더디게 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유럽연합은 이미 과도한 규제로 인해 혁신이 느려졌다"면서 "유럽연합을 공매도할 수 있다면 공매도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폐 분석가 '비트블레이즈(Bitblaze)'도 테더 거래량은 대부분 아시아에서 발생한다며 미카 규제로 인한 유럽 상장폐지 영향이 크지 않다고 봤다.
그는 "테더는 시가총액 1385억 달러, 하루 거래량 440억 달러의 최대 스테이블코인"이라면서 "테더 거래량의 80%는 아시아에서 발생하는 만큼 유럽연합 내 상장폐지는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테더는 유럽연합 규제 허가를 보유한 스테이블R, 퀀토즈 페이먼트 등에 투자하며 유럽 시장 우회 접근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위 스테이블코인 USDC의 발행사 서클은 2024년 7월 스테이블코인을 운영할 수 있는 전자화폐기관(EMI) 허가를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