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

포필러스(Four Pillars)

2025.04.11 18:56:09

Key Takeaways

 

  • 스테이블코인은 불가피하다. 데이터를 보더라도 스테이블코인의 총 공급량은 작년에 크게 증가하여 2025년 2월 기준으로 2,250억 달러에 달했으며, 활성 유저수 및 거래량도 급증했다. 각 국가에서의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다.

 

  • 특히 여러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일본과 홍콩은 정부 주도, 싱가포르는 기관 주도, 한국은 리테일 주도로 각 국가마다 다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반면에 중국과 인도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대신 CBDC에 집중하고 있다.

 

  •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 이후에 상호 운용성은 필수적이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에게는 발행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데 더 다양한 앱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른 블록체인으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현재 발행사들은 여러 블록체인에서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토큰 프레임워크, 자체적인 크로스체인 인프라, 모니터링 솔루션과 같은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 현재 테더 USDT, 에테나 USDe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상위 스테이블코인들은 레이어제로의 OFT 표준 및 맞춤형 보안 스택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체인에서 발행된 토큰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옵션의 DVN를 통해 보안이 강화된다. 일부 발행사들은 더 많은 컨트롤을 위해 자체 DVN을 운영하기도 한다.

 

  • 아시아 국가들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그 이점이 분명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은 규제와 발행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고민해야 한다. 결국 스테이블코인은 온체인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각 이더리움, 솔라나 등 여러 블록체인 생태계에 어떻게 활용되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며, 그러기에 상호 운용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와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4pillars.io/ko/articles/accelerate-asia-stablecoin-with-interop

 

 

1.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1.1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은 불가피했다

 

1.1.1 데이터로 보는 스테이블코인의 성

 

Source: Stablepulse: Analysis of Stablecoin Data by Electric Capital

 

스테이블코인의 유통량은 시장이 안 좋더라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와 달리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암호화폐의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일상적인 거래와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생태계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는 점이 굉장히 매력적이다.. 최근 데이터는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을 뒷받침하며 놀라운 성장 지표를 보여준다:

 

  • 스테이블코인 총 공급량은 2024년 2월 1,380억 달러에서 2025년 2,250억 달러로 증가하여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출처)

 

  • 스테이블코인 사용자도 비슷한 수준으로 급증하여 같은 기간 동안 활성 지갑 주소가 1,960만 개에서 3,000만 개 이상으로 53% 증가했다. (출처)

 

  • 월간 송금액은 1조 9,000억 달러에서 4조 1,000억 달러로 115% 증가하여 2024년 12월에 역대 최고치인 5조 1,0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출처)

 

  • 현재 200개 이상의 스테이블코인이 있으며, 60개가 2천만 달러, 26개는 1억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을 갖고 있다. (출처)

 

이 폭발적인 성장은 스테이블코인이 단순히 하나의 토큰이 아닌 암호화폐 경제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음을 시사한다.

 

1.1.2 규제 명확성이 스테이블코인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Source: Stablecoin Regulation Gains Global Momentum | S&P Global Ratings

 

전 세계 규제 당국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발의하면서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금융에서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가고 있다. 유럽연합은 MiCA(Markets in Crypto-Assets Regulations) 법안을 통해 이미 암호화폐 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를 명확하게 하여 써클(Circle)과 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업체가 EU 내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홍콩은 2025년에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법안을 통과시킬 것으로 보이며, 전문가들은 이 법안이 크립토 친화적인 요소들이 많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좋은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미국은 백악관의 친크립토 정책, 공화당 주도의 의회, 암호화폐 친화적 기관장 등 2025년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에 강력한 모멘텀을 생성할 수 있는 요인이 많다.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이 자신의 행정부 정책 목표라고 설파했다.

 

여러 주요 국가에서 규제 측면에서 스테이블코인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애널리스트들은 2026년 초까지 총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이 3,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며, 2025년에는 월별 거래량이 40%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현재의 추세가 계속된다면 스테이블코인은 2026년까지 50조 달러 이상의 거래량을 발생시킬 것이다”라고 밝혔다.

 

1.2 스테이블코인의 이점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써 제공하는 이점이 명확하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인 패트릭 하커는 암호화폐 자산은 일상적인 거래에 활용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고 지적했지만 스테이블코인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산이 될 수 있을거라 밝혔다.

 

일상 생활에서 페이먼트로 쓰이는 것과 더불어 스테이블코인은 특히 국제 거래에서 전통적인 결제 수단에 비해 상당한 비용 이점을 제공한다. 중개자 없이 직접 피어 투 피어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래 수수료와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최근에 러시아는 중국과 인도와 거래하면서 테더 USDT를 포함한 비트코인 등을 활용했다. 이와 같이 스테이블코인은 송금, 국경 간 거래 및 정기 금융 거래에 매우 매력적이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은 급여 처리, 인보이스 발행, 유동성 관리, 외환 위험 완화와 같은 다양한 사용 사례에 기업들이 활용하기 시작했다. 주요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여 복잡한 재무 관리를 간소화하고 국제 시장에서 중개 수수료를 최소화하고 있다. 최근 리서치에 따르면, 기관들이 현재 스테이블코인 전송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Source: How stablecoins will eat payments, and what happens next - a16z crypto

 

그러나 현재 스테이블코인의 가장 큰 이용 사례는 트레이딩을 위한 세틀먼트 자산으로써 활용되는 것이다. 2025년 3월 기준으로 USDT(테더) 전체 발행량의 33% 이상을 바이낸스(Binance), 바이비트(Bybit), OKX, 비트겟(Bitget)을 포함한 중앙화 거래소(CEX)가 보유하고 있다. 중앙화 거래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많이 보유한 이유는 트레이딩에 있어 가장 안정적인 페어로 역할을 하고 블록체인과 거래소 사이에서 송금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테이블코인의 잠재적 이점은 세틀먼트 자산으로 사용되는 것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페이팔(Paypal), 레볼루트(Revolut), 로빈후드(Robinhood), 등과 같은 핀테크 기업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 진입함에 따라 거래를 넘어 사용 사례가 확대될 수 있다. 이는 향후 몇 년 동안 국경 간 결제, 송금 및 기타 금융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질 것이다.

 

Source: All Stablecoins(ERC20): Exchange Reserve - All Exchanges | CryptoQuant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와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4pillars.io/ko/articles/accelerate-asia-stablecoin-with-interop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코인 이미지 Bitcoin (BTC)
121,550,596 (+2.64%)
코인 이미지 Ethereum (ETH)
2,334,989 (+5.21%)
코인 이미지 Tether USDt (USDT)
1,421 (+0.02%)
코인 이미지 XRP (XRP)
3,080 (+7.28%)
코인 이미지 BNB (BNB)
848,344 (+2.04%)
코인 이미지 Solana (SOL)
189,206 (+9.89%)
코인 이미지 USDC (USDC)
1,421 (0.00%)
코인 이미지 Dogecoin (DOGE)
238.8 (+5.63%)
코인 이미지 Cardano (ADA)
940.7 (+6.37%)
코인 이미지 TRON (TRX)
349.3 (+1.01%)
왼쪽
2025 4월  13(일)
오른쪽
진행기간 2025.04.11 (금) ~ 2025.04.12 (토)

43명 참여

정답 86%

오답 14%

진행기간 2025.04.10 (목) ~ 2025.04.11 (금)

30명 참여

정답 77%

오답 23%

진행기간 2025.04.09 (수) ~ 2025.04.10 (목)

47명 참여

정답 72%

오답 28%

진행기간 2025.04.08 (화) ~ 2025.04.09 (수)

50명 참여

정답 82%

오답 18%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