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 연준 파월, 트럼프 '관세 폭탄' 경고... 경기둔화·인플레 동시 압박

작성자 이미지
손정환 기자

2025.04.05 (토) 02:04

0
0

파월 미 연준 의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를 동시에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준은 당분간 금리 동결을 유지하며 경제 지표를 주시할 방침이다.

美 연준 파월, 트럼프 '관세 폭탄' 경고... 경기둔화·인플레 동시 압박 / TokenPost Ai

제롬 파월(Jerome Powell)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대규모 관세 조치에 대해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를 우려한다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4일(현지시간) 버지니아에서 열린 경제전문기자협회 연례 회의에서 "관세 수준이 예상을 훨씬 웃돌며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그만큼 클 것"이라며 "이 조치들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해방의 날 관세(Liberation Day Tariffs)’로 명명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은 수입 자동차와 전자제품, 산업용 자재 등 주요 품목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중앙은행 수장은 "일시적인 물가 상승에서 그치지 않고, 장기화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연준은 현재 낮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창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나, 관세가 이 두 목표에 상충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정책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금리 인상이 필요하지만, 경기 둔화로 노동시장이 악영향을 받으면 오히려 금리 인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관세 조치로 인해 물가와 고용 지표가 반대로 움직일 경우, 연준은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준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경제 흐름을 관망 중이다. 파월 의장은 “성과보다 위험 요인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당분간은 기존 기조를 유지하며 지표를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거시경제적 충격이 현실화되느냐에 따라 향후 통화정책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며 향후 수개월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고율 관세가 단기적으로는 공급망 비용 상승을 불러오고, 장기적으로 미국 및 글로벌 경기의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 주요 금융기관도 앞서 이와 유사한 우려를 표명하며 연준의 금리 정책이 더욱 복잡해질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특히 연준 내부에서도 갈등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파월 의장은 "관세가 어디까지 확대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며 "정확한 영향은 시간이 지나야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큰 방향성을 제시했지만 전반적인 디테일이 부족해 정책 혼선이 생길 수 있음을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연준이 당장 방향 전환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가운데, 향후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고용지표가 추가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스탠스 변화 시점을 예측하려는 가운데 물가와 실업률 변동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