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트럼프 관세 폭탄,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 비상…삼성도 직격탄

작성자 이미지
연합뉴스

2025.04.05 (토) 02:04

0
0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산 제품에 46% 관세를 부과하면서,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34조 원을 투자한 삼성전자 등 주요 기업이 직격탄을 맞을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관세 폭탄,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 비상…삼성도 직격탄 /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 제품에 46%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대응 마련에 나섰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은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 중이다.

이번에 공개된 관세율은 전 세계 180개국 가운데 6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레소토, 캄보디아, 라오스, 마다가스카르 등 일부 개발국을 제외하면 사실상 중국 다음으로 높다. 베트남 기업뿐 아니라 베트남에서 제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에도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는 현재 베트남에서 총 232억 달러(약 34조원)를 투자 중이고, 지난해 미국 등으로 약 544억 달러(약 80조원) 규모의 제품을 수출했다. 이는 베트남 전체 수출의 약 14%에 해당한다.

고태연 하노이 코참 회장은 "한국 기업들이 대체로 패닉 상태"라며 "서로 소통하며 해결책을 찾아보자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기업들은 그동안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베트남에 대거 투자해왔다. 하지만 이번 관세 조치로 베트남 생산 거점 전략에도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스타일을 감안할 때 협상을 위한 포석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 대사관은 베트남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추가 피해를 줄이려는 방침이다.

현지 기업들은 인도나 멕시코 등 관세 부담이 덜한 지역으로 생산을 옮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지금 발표된 세율대로 확정되면 베트남에서의 사업 매력이 크게 낮아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