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사실상 물가상승률이 없다"고 주장하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에 금리 인하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실제 소비자물가지수와 연준 입장을 종합하면 트럼프의 발언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에서 "소비자 비용이 아주 안정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며 연준이 유보 중인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과 달리 최신 소비자물가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2.4%로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상회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는 전년 대비 3.3% 하락했지만, 전기와 천연가스 가격은 일부 상승했고 식료품 가격도 3.0% 올랐다. 이러한 요인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2.8% 상승해 2021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만한 근거로는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연준은 기준금리를 물가 통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지난해까지 기준금리를 최대 5.50%까지 인상했다. 이후 일부 완화 조치가 있었으나 올해 들어서는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 하락세가 아직 명확하지 않고, 고용과 소비 등 실물지표에 대한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새로 발표한 일련의 관세 정책도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연초부터 시행된 추가 관세는 향후 소비자물가에 직접적인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연준은 그 영향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추가 조치를 자제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정책 변경은 관세, 재정정책, 이민정책 등 구조적 변화의 총합 영향을 본 뒤 판단하겠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가 계획한 최고 수준의 관세가 전면 시행될 경우, 연말까지 물가상승률이 다시 4.7%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현실화될 경우, 연준은 금리를 인하하기는커녕 오히려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정치적 메시지에 가깝다는 평가다. 현실의 인플레이션 구조나 연준의 기준금리 정책 방향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어, 투자자와 소비자들은 보다 객관적인 통계와 정책 연설을 기준 삼아 경제 전망을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