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대규모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 전반에 중대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일률적인 10% 기본 관세를 도입하고, 국가별로 차등된 추가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특정 품목에만 적용됐던 이전 관세보다 훨씬 광범위한 조치이며, 제조업과 투자 유치를 내세우는 ‘미국 우선’ 전략의 연장선으로 평가된다.
이번 조치가 실제 얼마나 강력한지 보여주는 지표는 '실효 관세율'이다. 이는 전체 수입품에 부과되는 평균적인 세율을 의미하는데, 올 초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했을 당시 2.4% 수준이던 실효 관세율은 이번 정책 이후 22% 이상으로 치솟을 전망이다. 예일대 예산연구소(Budget Lab)는 이번 조치만으로도 실효 관세율이 11.5%포인트나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는 1909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미국 통상정책 역사에서 이례적인 변화다.
물가는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높은 수입세는 결국 가격 전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가격 상승 부담을 안기게 된다. 예일대 자료에 따르면, 이번 관세로 인해 미국 평균 가계가 연간 약 3,800달러(약 554만 8,000원)의 추가 지출을 부담하게 되며, 특히 의류나 가죽제품처럼 관세가 집중된 품목에서 소비자 체감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성장률 역시 관세 부과의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갑작스러운 관세 확대가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은 제조업 비용 압박으로 이어지고, 급격한 시장 변동성은 기업들의 투자 결정을 유보하게 만든다는 분석이다. 예일대는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향후 수년간 미국의 실질 GDP 성장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시적인 충격이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이를 통해 글로벌 교역 질서를 재정립하고 미국 내 산업 기반을 복원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시장과 기업, 소비자들이 체감하게 될 영향은 단기적인 고통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유지될 경우, 투자와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이는 경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긴장이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