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언락(Unlock)은 일정 기간 동안 락업(잠금)되어 있던 토큰이 시장에 유통될 수 있도록 풀리는 과정이다. 언락 이벤트는 공급 증가, 유동성 확대, 매도 압력 상승 등을 야기하며 토큰 가격 변동성과 시장 심리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특히 시가총액 대비 언락 비율이 높거나 대량 토큰이 단기간에 풀릴 경우, 가격 조정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투자 판단에 참고할 수 있는 이번 주 예정된 토큰 언락 일정과 세부 내용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이번 주 14일부터 20일까지 한 주간 총 8억5216만 달러의 토큰 락업이 해제된다. 이번 주 18일(3억9724만 달러)과 19일(1억5028만 달러)에 가장 많은 물량이 시장에 풀릴 예정이다.
해당 기간 동안 스타크넷(STRK), 아비트럼(ARB) 등 다수의 시총 1억 달러 종목들이 토큰 락업을 진행한다.
4월 14일(2600만 달러) ALI|HIGH|RSS3|SN
4월 15일(6420만 달러) STRK|STIK|CYBER
4월 16일(6960만 달러) ARB|ZBCN|PRCL|VANA
4월 17일(9950만 달러) RARE|APE|BBT|A8|OMNI|SOLV|DBR
4월 18일(3억9724만 달러) IMX|MANTA|ACE|XMW|UXLINK|TRUMP
4월 19일(1억5028만 달러) NUM|SAROS|PIXEL|ZKJ|MERL|KARRAT
4월 20일(4534만 달러) HTM|ODOS|OBT|MELANIA

금액 기준 오피셜 트럼프(TRUMP), 폴리헤드라 네트워크(ZKJ), 옴니 네트워크(OMNI)가 최대 규모의 토큰 락업 해제를 진행한다. TRUMP 락업 해제 물량은 3억3513만 달러 상당으로, 시총의 4.39%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 오피셜 트럼프(TRUMP) 3억3513만 달러
- 폴리헤드라 네트워크(ZKJ) 3496만 달러
- 옴니 네트워크(OMNI) 2945만 달러
- 아비트럼(ARB) 2800만 달러
- 디브릿지(DBR) 2547만 달러
시총 대비 락업 해제 비율이 높은 종목은 옴니 네트워크(OMNI), 디브릿지(DBR), 파클(PRCL) 등이다. OMNI는 시가총액 대비 락업 해제 물량 비율이 83.6%로 가장 높았다. DBR도 61.7%로 높은 비율의 토큰 락업이 해제된다.
- 옴니 네트워크(OMNI) 83.6%
- 디브릿지(DBR) 61.7%
- 파클(PRCL) 57.6%
- 폴리헤드라 네트워크(ZKJ) 25.6%
- 오피셜 트럼프(OFFICIAL TRUMP) 20%
TGE 락업 해제 일정
커넬(KERNEL)은 이날 전체 공급량의 8.2%에 해당하는 8190만개 물량을 풀었다. 지난 10일에는 마인드 네트워크(FHE)가 공급량 20%에 달하는 2억개 토큰을 락업 해제했다. 같은 날 국내 거래소 빗썸과 코인원에 상장된 바빌론(BABY)이 전체 공급량의 9%에 해당하는 9억개 토큰에 대한 락업 해제를 시작했다.
TGE(Tokens Generation Event, 토큰 생성 이벤트)는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이다. 이때 생성된 물량 중 일부는 일정 기간 락업되며, 이후 처음으로 해제되는 일정이 TGE 락업 해제다. 초기 투자자, 팀, 생태계 물량 등이 포함된다.
VC 락업 해제 일정

벤처캐피털(VC) 락업 해제는 초기 투자자가 보유한 토큰이 시장에서 유동화될 수 있도록 풀리는 과정으로, 프로젝트의 장기 성장과 투자자의 수익 실현 기회를 제공하지만 매도 압력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VC 수익 배율(초기 매입가 대비 현재 가격)이 높을수록 매도 가능성이 커지며, 이는 가격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 투자자들은 VC의 해제 일정과 매도 전략을 고려해 시장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