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나카모토 계수, 블록체인 탈중앙화의 새 기준으로 부상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2025.04.02 (수) 17:55

1
3

블록체인 탈중앙화 수준을 수치화하는 지표 '나카모토 계수'가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단일 지표의 한계와 함께 종합적 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나카모토 계수, 블록체인 탈중앙화의 새 기준으로 부상 / TokenPost AI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있어 왔지만, 이를 수치화하는 데 성공한 지표는 많지 않다. 이 가운데 '나카모토 계수(Nakamoto Coefficient)'는 네트워크의 통제력이 얼마나 분산돼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이 지수는 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장악하려면 몇 개의 독립 집단이 공모해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수치가 높을수록 탈중앙화 수준이 높고, 동시에 보안과 네트워크 신뢰성도 견고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나카모토 계수 개념은 2017년 당시 코인베이스의 최고기술책임자였던 발라지 스리니바산(Balaji Srinivasan)이 제안했으며, 비트코인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의 이름에서 따왔다. 주요 채굴자, 검증자, 노드 운영자 등 핵심 참여자들이 네트워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수치로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한 블록체인의 나카모토 계수가 3이라면, 최소한 3개의 개별 주체가 담합해야 시스템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의미다. 이는 통제력이 3곳 이상으로 분산돼 있음을 뜻하며, 네트워크 안정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계수 산정 방식도 직관적이다. 먼저 채굴풀, 검증자, 대형 지갑 등 주요 참여자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뒤, 상위 순으로 누적 비율을 합산해 51%를 초과하는 데 필요한 참여자 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채굴풀 A가 해시레이트의 25%, B는 20%, C는 15%를 점유하고 있는 경우, A부터 C까지의 점유율을 더하면 총 60%로 과반을 넘기게 된다. 이때 계수는 3이 된다. 반면, 비트코인의 경우 현재 주요 채굴풀 두 곳만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51% 이상을 장악할 수 있어 나카모토 계수가 2에 불과하다는 경고도 나온다.

해당 지표는 각 블록체인의 합의 메커니즘에 따라 측정 단위나 방식이 달라진다. 비트코인 같은 작업증명(PoW) 방식에서는 채굴풀의 해시레이트를 기준으로 삼지만, 이더리움 또는 폴카닷처럼 지분증명(PoS)을 채택한 네트워크에서는 검증자 노드들을 중심으로 지분 분산도를 평가해야 한다. 특히 폴카닷은 공명 지분 증명(NPoS) 방식을 통해 많은 참여자들 간의 역할 분산을 유도하고 있어 지수 면에서도 높은 탈중앙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나카모토 계수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수준을 판단하는 데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다. 계수는 어느 시점의 상태만을 반영하는 ‘정적’ 지표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네트워크 참여자 구성이나 지분 분포가 바뀌면 그 신뢰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수는 특정 네트워크의 한 subsystem, 예컨대 검증자 집단이나 채굴자 풀만을 중심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사용 노드의 지리적 분포,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다양성, 토큰 보유 집중도 같은 요소는 분석에 포함되지 않는다.

아울러, 외부 요인 또한 탈중앙화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국가는 자국 내 채굴 시설이나 노드 운영에 강력한 규제를 가하고 있으며, 이런 정책 변화는 네트워크 구조를 급격히 중앙화시킬 수 있다. 기술 진보나 시장 구조의 변화도 계수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종합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나카모토 계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얼마나 탈중앙화돼 있는지를 수치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 가운데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다. 하지만 이를 독립적인 기준으로 보는 것은 위험하며, 다른 정량적 지표 및 정성적 요인과 병행해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및 보안성을 판단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1

추천

3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legoboss

01:19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legoboss

2025.04.03 01:19:5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