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솔라나 17% 급락… 밈코인 폭락이 원인일까?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9 (수) 05:07

대화 이미지 2
하트 이미지 5

솔라나(SOL) 가격이 17% 하락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밈코인 폭락, 온체인 거래 감소, 디파이 TVL 축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솔라나 17% 급락… 밈코인 폭락이 원인일까? / Tokenpost

솔라나(SOL) 가격이 최근 크게 하락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2월 14일부터 18일까지 SOL은 17% 하락해 현재 약 16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가 연루된 리브라(Libra) 밈코인이 83% 폭락하면서 솔라나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SOL의 시가총액이 180억 달러(약 25조 9,200억 원) 증발한 원인을 단순히 밈코인 사태로만 설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미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의 유동성이 감소하고 있었으며, 대규모 토큰 언락 일정이 다가오면서 투자 심리가 흔들리고 있었다. 또한, 솔라나 기반 밈코인들이 SOL과 유사한 가격 움직임을 보였다는 점에서 밈코인이 주요 하락 요인이 아니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솔라나의 온체인 활동 감소도 눈에 띈다. 탈중앙화 거래소(DEX) 거래량은 1월 17일 355억 달러(약 51조 1,200억 원)까지 급등했지만, 2월 17일에는 31억 달러(약 4조 4,600억 원)로 91% 감소했다. 이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 의사를 밝힌 ‘Official Trump(TRUMP)’ 밈코인이 150억 달러(약 21조 6,000억 원) 규모의 시가총액을 형성하며 시장을 주도했지만, 이후 시장의 열기가 식으면서 급격한 거래량 축소가 나타났다.

그러나 솔라나의 경쟁 블록체인들은 다른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BNB 체인은 35% 성장하며 솔라나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주요 요인으로는 디파이 프로젝트 테나(Thena)의 거래량이 두 배로 급증했고, 유니스왑(Uniswap)과 도도(DODO)도 각각 61%, 53% 성장한 점이 꼽힌다.

솔라나의 총 예치 자산(TVL)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2주 동안 TVL은 19% 감소했으며, 주요 디파이 프로젝트인 지토(Jito), 카미노(Kamino), 마리네이드 파이낸스(Marinade Finance) 등이 자금 유출을 겪었다. 이에 반해 이더리움은 같은 기간 TVL이 2% 감소하는 데 그쳤으며, BNB 체인은 오히려 8% 증가했다.

한편, 2025년 1분기에 예정된 대규모 SOL 토큰 언락도 투자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해당 기간 동안 1,500만 개의 SOL이 유통 시장에 풀릴 예정이며, 이는 이전 분기 대비 12배 많은 규모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공급 증가가 SOL의 추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결국, SOL 가격 하락은 단순한 밈코인 사태 때문이 아니라, 온체인 거래 감소와 디앱 TVL 축소가 맞물린 구조적인 문제에서 기인했다. 또한, 대규모 토큰 언락 일정이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SOL의 최근 하락 흐름을 더욱 심화시켰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2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Sdc

2025.02.19 12:40: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2.19 06:48:0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